한 살배기 백혈병 아기 살린 CAR-T 세포치료제 [헬스케어 인사이드]

최근 연말연시 선물 같은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백혈병을 앓던 한 살배기 아기가 키메릭항원수용체(CAR)-T세포 치료를 받고 암을 이겨냈다는 얘기였습니다. 주인공은 서울아산병원에서 항암치료를 받고 투병하던 이주아양(18개월)입니다.

주아가 백혈병 진단을 받은 것은 지난해 7월 말. 세상에 태어난 지 45일 되던 날이었습니다. 7월 초 얼굴과 몸에 푸르스름한 멍이 생긴 것을 이상하게 여긴 부모님은 간단한 질환으로 생각하고 동네의원을 찾았습니다. 하지만 의사는 큰 병원에 가보라고 했고 서울아산병원 의료진은 정밀 검사 끝에 B세포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이라는 진단을 내렸습니다. 혈액을 만드는 골수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죠. 청천벽력같은 소식이었지만 주아의 부모님과 의료진은 희망을 잃지 않았습니다. 주치의인 임호준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종양혈액과 교수는 항암치료부터 시행했습니다. 올해 1월엔 엄마의 조혈모세포도 주아에게 이식했습니다. 조혈모세포는 건강한 혈액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다만 영유아에겐 이식 치료를 하면 부작용 위험이 큽니다. 임 교수팀은 아이를 세세하게 살피며 큰 탈 없이 이식을 마쳤습니다.

하지만 이식 효과는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치료 후 7개월 정도 지난 8월 백혈병은 다시 재발했습니다. 통상 조혈모세포 이식을 한 뒤 재발률은 20% 정도입니다. 다시 이식을 시도할 수도 있지만 부작용 위험이 커 한살배기 아이가 이겨내긴 힘들 것이라고 의료진은 판단했습니다.

고민 끝에 선택한 치료법은 CAR-T 세포치료제였습니다. CAR-T 세포치료제는 면역세포인 T세포가 몸 속 암 세포만 유도탄처럼 찾아 공격하도록 바꾼 뒤 넣어주는 치료제입니다. 환자의 T세포를 뽑아낸 뒤 조작을 거쳐 넣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수억원에 이릅니다. 위암 대장암 같은 고형암에선 아직 효과를 확인하지 못했지만 백혈병 같은 혈액암 치료에선 ‘완치’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다행히 올해 4월 CAR-T 세포치료제가 건강보험 항목에 포함되면서 4억원에 이르던 약값이 600만원 정도로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난관은 있었습니다. 치료제가 개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영유아에게 이 치료제를 활용한 경험이 쌓이지 않았던거죠. 신경계 독성, 사이토카인방출 증후군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도 남은 상태였습니다.

이런 우려에도 임 교수팀은 선택지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지난 10월 이양에게 CAR-T세포 치료를 시행했습니다. 치료 후엔 소아청소년신경과, 감염내과 등 여러 진료과 전문의들이 함께 모여 이 양의 차도를 살폈습니다. 치료 한달 뒤인 11월 각종 정밀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이 양의 몸 속엔 다행히 아무런 암 세포도 남지 않았습니다. 여전히 부작용 없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CAR-T세포 치료를 했지만 아직 재발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의료진은 여전히 주아의 건강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있습니다. 임 교수는 “앞으로 주아가 계속 안전하게 치료받으며 아빠 엄마의 사랑을 듬뿍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습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