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아지는 '재건축 허들'에 상계동 잰걸음

노원구 대단지 아파트 주목

주공2단지, 최근 D등급 획득
'적정성 검토' 폐지 수혜볼 듯
1·6단지, 미도·한양도 가속도

작년 정밀진단 철회한 주공3
용역입찰 공고 내고 재도전
노원구 '30년 연한' 6.7만가구
내년부터 재건축 2차 정밀안전진단(적정성 검토)이 사실상 폐지됨에 따라 1차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한 단지들의 사업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안전진단을 추진 중인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 한경DB
부동산 시장 침체 속에서도 재건축 사업을 준비 중인 구축 단지들의 사업 속도가 한층 빨라질 전망이다. 내년부터 재건축 추진 ‘대못’으로 꼽히는 2차 안전진단(적정성 검토)이 사실상 폐지되는 등 관련 규제가 크게 완화되기 때문이다. 1차 안전진단 통과만으로 재건축이 가능해지면서 재건축 연한 30년을 넘긴 단지가 많은 노원구의 재건축 움직임이 분주한 모습이다.

상계동 5개 단지 안전진단 ‘통과’

29일 서울 노원구에 따르면 상계주공2단지 아파트는 최근 재건축 사업 1차 관문인 정밀안전진단을 D등급으로 통과했다. 지난해 7월 예비안전진단을 통과한 뒤 1년5개월여 만이다.

상계주공2단지는 1987년 준공해 올해로 입주 36년째다. 지상 15층 23개 동, 총 2029가구 규모(전용면적 32~68㎡)다. 서울 지하철 7호선 노원역과 중계역이 도보권에 있다.

상계동 A공인 관계자는 “용적률이 180% 이하여야 재건축 사업성이 있다고 평가하는데, 상계주공2단지 용적률은 171%”라며 “다만 조합원 물량 대부분이 소형 주택형이기 때문에 지분을 감안하면 추가분담금이 꽤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현 재건축 절차대로라면 상계주공2단지는 다음 단계로 국토안전관리원 같은 공공기관이 주관하는 2차 안전진단을 받아야 하지만 내년부터 이 과정이 생략된다. 이후 단계인 ‘서울시 정비구역 지정’으로 바로 넘어갈 수 있게 된 것이다.

2단지가 안전진단 문턱을 넘으면서 재건축 연한 30년을 넘긴 인접 단지들도 잰걸음으로 움직이고 있다. 노원구청 도시재생과 관계자는 “최근 통과한 2단지를 포함해 상계동에서는 주공1·6단지와 상계미도, 상계한양 등 다섯 곳이 1차 안전진단 D등급 이하를 받아 통과한 상태”라며 “국토교통부의 안전진단 완화 방침이 구체화된다면 재건축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30년 초과 6만7000가구에 달해

다른 단지들도 안전진단 심사에 속속 나서고 있다. 노원구는 지난 26일 상계주공3단지의 재건축 판정을 위한 정밀안전진단 용역 입찰 공고문을 냈다. 3단지는 1987년 준공된 단지로 입주 35년째다. 지상 9층 26개 동, 2213가구 규모(전용면적 45~111㎡)다. 지하철 4·7호선 노원역 초역세권 대단지로 입지가 좋은 편이다.이 단지는 지난해 정밀안전진단에 착수했지만 철회한 바 있다. 최근 정부의 안전진단 완화 발표에 따라 재도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월계시영도 재건축 규제 완화 바람에 기대를 걸고 사업 도전에 나섰다. 노원구는 20일 월계시영아파트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용역을 발주했다. 이곳은 1986년 준공돼 올해로 37년이 지났다. 3930가구 규모로 강북권 최대 재건축 단지 중 하나로 꼽힌다.

노원구에서 재건축 최소 연한인 30년을 넘긴 아파트는 45개 단지, 6만7000여 가구에 달한다. 2030년이 되면 ‘30년 연한’을 넘긴 아파트는 119개 단지, 10만9000여 가구로 크게 늘어난다. 노원구 전체 아파트의 88.4%에 달하는 비중이다.다만 재건축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매물 잠김 현상까지 겹치면서 노원구 아파트 거래량은 역대 최저 수준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3월 145건에 달했던 노원구 아파트 거래건수는 이달 28일까지 21건으로 급감했다.

김제경 투미 부동산컨설팅 소장은 “안전진단 통과 후에도 관리처분까지 최소 7~8년 정도가 소요된다”며 “부동산 시장 하락장이 그 사이에 반등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시황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재건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