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주택시장 냉각…"내년 거래 2011년 이후 최저 예상"

올해보다 16% 줄어들 듯
고금리 지속에 매수 보류
미국 부동산 경기가 내년에도 악화일로를 걸을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 주택 거래량이 2011년 이후 12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하면서 주택 가격(중위)도 2012년 이후 11년 만에 처음 하락할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

11일(현지시간) 투자정보매체 시킹알파에 따르면 미국 부동산중개업체 레드핀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내년 미국 기존 주택 판매량이 올해 예상치(약 512만 가구)보다 16% 줄어든 430만 가구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예측이 맞아떨어진다면 서브프라임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사태가 촉발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됐던 2011년(426만 가구) 이후 12년 만에 가장 적다. 레드핀은 높은 모기지 금리와 주택 가격, 인플레이션 지속과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주택 매수를 보류하는 수요자가 늘어난 게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미 미국 부동산 시장은 냉각기를 맞았다. 미국 부동산중개인협회(NAR)는 월간 판매량을 연 단위로 환산한 연율 기준으로 매달 기존 주택 판매량을 발표한다. 이 수치는 지난 1월 649만 가구 이후 9개월 연속 감소하며 10월 443만 가구를 기록했다. 9개월 만에 32% 감소한 셈이다. 미국 신용평가사 무디스의 마크 잔디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현재의 미국 주택시장 상황을 “(거래) 증발 상태”라고 요약했다. 폴 애시워스 캐피털이코노믹스 수석이코노미스트도 “주택시장에서의 매매 활동이 완전히 소멸했다”고 했다.2012년 이후 10년간 상승세인 주택 가격도 내년엔 하락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레드핀은 “내년 미국의 주택 중위가격이 올해보다 4% 낮은 36만8000달러(약 4억8100만원)를 기록할 것”이라며 “내년 2~3분기에는 전년 동기보다 5% 떨어졌다가 4분기에 약 3%로 하락폭이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이어 “내년 주택 공급이 역사적으로 적기 때문에 가격이 급락하진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레드핀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 나타났던 주택 압류 급증이 재연될 가능성은 낮게 봤다. 주택 가격이 여전히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보다 높을 뿐 아니라 노동시장이 견고해 가계 자금 동원력이 충분해서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