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눈] 쌀에 대한 마음

* 독자 의견·투고 받습니다.

이메일 people@hankyung.com 팩스 (02)360-4350
어렸을 때 많이 했던 놀이 중 ‘쌀보리’가 있다. “쌀”에 술래가 들어오는 주먹을 잡으면 공수가 바뀌는 간단한 놀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쌀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은 공권력을 활용해 ‘산미증산계획’ 같은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물론 식민지 국민을 배고픔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차원이 아니라 일본 본토의 늘어나는 쌀 소비량을 감당하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조선은 일본의 쌀 수탈지가 돼 우리가 생산한 쌀조차 우리가 먹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오죽하면 1912년도의 1인당 쌀 소비량이 60㎏대에서 1929년에는 약 36㎏으로 반 가까이 줄어드는 상황이 됐을까. 비워진 쌀의 자리는 만주에서 수입한 잡곡, 콩깻묵이 채웠다.이런 염원은 1960년대를 거쳐 1970년대 통일벼의 등장으로 채워지는 듯했다. 하지만 경제가 좋아지고 사람들의 소비 성향이 높아지기 시작하면서 그간 억제됐던 쌀 소비 욕구가 가파르게 올라갔다. 통일벼가 사람들의 배는 채워줬는지 몰라도 혀까지 채우기에는 미질이 좋지 않았다. 부족했던 미질에 대한 바람은 품질 좋은 ‘일반미’가 채워줬다. 1980년대부터 쌀 수요가 지속해서 감소했다. 1982년 156.2㎏까지 증가했던 1인당 쌀 소비량은 지난해 56.9㎏으로 줄었다.

몇십 년 전에는 쌀 부족에 온 나라가 정책·사회·학문적으로 대처했는데 이젠 쌀 과잉으로 농업계가 힘들어하고 있다.

우리 선조들은 쌀을 먹기 위해 논과 저수지를 만들고 채집하며 살던 생활도 버리고 마을로 정착해 들어왔다.쌀의 지위는 예전만큼 회복되지는 않을 것 같다. 하지만 우리 민족이 5000여 년 동안 간직한 쌀에 대한 마음만은 모두가 알고 지켜줬으면 좋겠다.

오성진 농협중앙교육원 교수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