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탑승 불허한 尹, CBS·채널A는 전용기서 따로 불렀다

대통령실 "평소 인연 있는 기자와 편히 대화"
승무원 불러 앞으로…1시간 뒤 자리 돌아와
서울→프놈펜, 프놈펜→발리 때 간담회 없어
한·일 한·미 정상회담 '풀 취재 불허' 논란도
대통령실 "양국 간 사전 협의에 따른 것"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한-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 등 일정을 마친 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 발리로 출국하기 위해 13일 캄보디아 프놈펜국제공항에 도착, 공군 1호기에서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왜곡보도'를 이유로 MBC 기자들의 대통령 전용기 탑승을 불허한 반면, 친분이 있는 일부 기자와는 전용기에서 따로 불러 대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15일 브리핑에서 '프놈펜에서 발리로 이동하는 1호기에서 특정 언론사 기자가 앞으로 불려나간 것을 많은 기자들이 봤는데 대통령과 대화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통령이 평소 인연이 있는 기자를 만나서 편한 대화를 나눴을 뿐, 취재와 무관하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과 순방 취재 기자단은 지난 13일 저녁 캄보디아 프놈펜 일정을 마치고 인도네시아 발리로 대통령 전용기를 타고 이동했다. 전용기가 이륙한 지 한 시간 가량 지났을 때 승무원이 채널A 기자와 CBS 기자를 찾아 전용기 앞 칸으로 데려갔다. 전용기는 대통령 전용 공간이 앞에 있고 그 뒤에 기자단과 수행단 공간이 있는 구조다. 이들은 약 1시간 뒤 자리로 돌아왔다는 게 여러 기자의 증언이다. 두 기자는 대통령을 취재하며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서울에서 프놈펜으로, 프놈펜에서 발리로 이동할 때 전용기 기자간담회를 하지 않았다.

대통령실이 한·미, 한·일 정상회담 일정에 기자단의 취재를 불허한 것도 논란이 됐다. 통상 정상회담 취재는 정상들의 첫머리 발언을 풀(공동취재) 기자가 받아적은 뒤 기자단과 공유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지난 13일 한·미 한·일 정상회담은 풀 취재를 허용하지 않고 대통령실이 발언을 공유하는 방식이었다. '말실수 논란'을 의식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자 대통령실은 "두 회담이 대통령실 전속 취재로 진행된 것은 양국 간 사전 협의에 따른 것"이라며 "한 나라가 일방적으로 취재나 보도 방식을 정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발리=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