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예·적금 금리가 대출금리 끌어올렸다

코픽스 3.98%…변동금리·전세자금대출에 16일부터 반영

코픽스 1개월새 0.58%P 상승
2010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

은행채 발행↓ 고금리 예적금↑
은행들 자금조달 비용 늘어나

5억 주담대 年이자 1080만원↑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年7% 넘어
고금리 예·적금이 늘어날수록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은 증가한다. 이는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와 전세자금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끌어올린다. 코픽스가 올랐다는 것은 은행의 조달비용, 즉 원가가 뛰었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행 고금리 예·적금 증가→코픽스 인상→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지는 구조다. 예금금리 상승이 대출금리를 끌어올려 차입자들의 이자 부담이 한층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치솟는 예금금리가 코픽스 끌어올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10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역대 최고치(3.98%)와 최대 상승폭(0.58%포인트)을 기록한 것은 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가파르게 올랐기 때문이다. 농협은행 ‘NH올원e예금’(연 5.1%), 국민은행 ‘KB스타정기예금’(연 5.01%), 하나은행 ‘하나의 정기예금’(연 5.0%) 등 5대 시중은행마저 연 5% 이자를 주고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지방·외국계 은행 예금금리는 연 5% 중반대를 향하고 있다. 지난달 은행권 정기예금은 56조2000억원이나 늘어나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은행들이 예금금리를 올리는 것은 은행채 발행이 줄면서 자금 조달에 애를 먹고 있어서다. 지난달 신용도 높은 은행채가 쏟아지면서 일반 회사채 수요가 줄어들자 금융당국은 은행들에 은행채 발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다. 이달 들어 지난 11일까지 은행채 발행액은 7조3800억원으로 7조4300억원인 상환액에 못 미쳤다. 순발행액(발행액-상환액)은 -500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른 조달처인 양도성 예금증서(CD) 금리도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거진 2009년 이후 처음으로 연 4%에 육박할 정도로 가파르게 뛰었다. 한 시중은행 자금담당 임원은 “은행채 발행이 사실상 막힌 상황에서 저원가성 예금이 빠져나가고 있어 정기예금 금리를 올려서라도 자금을 조달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주담대 年 7% 시대 본격화

16일부터 코픽스에 연동되는 시중은행의 변동금리 주담대와 전세대출 금리도 일제히 오른다. 신규 취급액 코픽스 변화를 거의 그대로 반영하는 국민 우리 농협은행은 주담대 변동금리를 0.58%포인트씩 인상한다. 국민 우리은행 주담대 금리 상단이 연 7%를 넘어서며 본격적인 ‘주담대 연 7%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일부 시중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최고 금리는 이미 연 8%를 넘어섰다.

신규 취급액 코픽스보다 금리 상승분이 늦게 반영돼 금융당국이 관련 대출상품을 추천했던 신잔액 코픽스(2.36%)도 한 달 새 0.32%포인트 높아졌다. 2019년 6월 신잔액 코픽스 도입 이후 최대치로, 상승폭도 역대 가장 커 신잔액 코픽스 적용 차입자들의 이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지난해 7월 연 3% 금리로 5억원의 변동금리 주담대(30년 만기·원리금 균등상환)를 받았다면 월 이자액은 210만원이었지만, 1년간 코픽스 상승률(0.95%→3.98%)만큼 대출금리가 오르면서 월 이자가 300만원으로 껑충 뛴다. 연간 이자 부담 증가액은 1080만원에 이른다.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국민은행의 경우 연 5.24~6.64%에서 연 5.82~7.22%로 금리 상단이 연 7%를 넘어서게 됐다. 전세대출의 94%가 변동금리형이어서 이자 부담 급증과 함께 부실화 우려까지 제기된다. 20~30대가 전세 대출자의 61.6%를 차지해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