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총파업 들어가나…서울교통공사 노조 "파업 가결"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의 양대 노동조합이 6년만의 공동 총파업을 예고했다. 먼저 16일 준법투쟁에 들어가는 동시에, 이달 말까지 서울시와 공사의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없을 경우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7일 노조는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9월 재정위기를 이유로 강제적 구조조정을 하지 않겠다는 합의를 번복한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를 규탄한다”고 밝혔다.앞서 지난 5월 27일엔 노조, 교통공사, 서울시 3자 간 심야연장운행 재개와 관련해 승무원 209명, 장기결원 인력 90명을 포함한 안전 인력 209명 증원 등에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공사측이 지난달 4일 안전업무 외주화, 1인 승무 도입 등 공사 전체 인력의 10%가량인 1539명을 감축하겠다는 안을 제시하면서 이틀 뒤인 6일 교섭이 결렬됐다.

결국 21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 중지 결정이 내려지면서 결국 노조는 이달 1~4일에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했다.총투표에서는 전체 조합원 1만3831명 중 1만2292명이 투표해 9793명이 찬성해 79.7%의 찬성률(재적 대비 70.8%)로 가결됐고 노조도 쟁의권을 획득했다.

11월 30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게 되면 지하철 대란이 불가피해 진다.

파업에 돌입할 경우 필수유지업무 협정에 의해 서울시 지하철 1호선의 경우 53.5%, 2호선 72.3~72.9%, 3호선 57.9%, 4호선 56.4%, 5~8호선은 79.8%로 운행률을 유지해야 한다. 공휴일의 경우 1~8호선 전체 운행률이 50%로 떨어진다. 결국 1~4호선이 평일 교통 대란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다만 노조 관계자는 “조만간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공문을 보내 공식 면담을 요청할 계획”이라며 “그전에도 건설적인 안을 제시한다면 우리는 얼마든지 협상을 할 수 있다”고 말해 극적 타결 가능성도 암시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