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키텔로 유니티 CEO "메타버스, 상상하던 모든 게 3~4년 안에 현실화"

유니티ㅡ 실시간 3D 콘텐츠 제작·운영 플랫폼 공급
현대차 생산·R&D 메타버스 프로젝트 함께 진행

“차세대 인터넷은 메타버스로 옮겨갈 것

메타버스를 활용해 인간과 로봇이 함께 일하면
작업의 효율성을 훨씬 높일 수 있다”
“먼 미래 같았던 메타버스가 지금 바로 우리 곁에 와있습니다. 우리 런던 사무실을 새롭게 만들 때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해 상상한대로 직접 설계했습니다.”

존 리키텔로 유니티소프트웨어 최고경영자(CEO)는 메타버스가 3~4년 안에 현실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리키텔로 CEO는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 유니티 본사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메타버스는 실제 모델을 실시간으로 내가 있는 공간에서 살펴볼 수 있는 환경”이라고 정의하며 “차세대 인터넷은 메타버스로 옮겨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가 메타버스의 미래를 이렇게 구체적으로 예상하는 것은 유니티가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있어서다. 나스닥 상장사인 유니티는 실시간 3D(3차원) 콘텐츠의 제작·운영 플랫폼을 공급하고 있다. 전세계 상위 1000개 모바일게임의 70%가 유니티의 게임 엔진을 사용해서 제작됐을 정도로 게임 엔진 분야에서 독보적인 업체다. 메타버스 기술도 앞서있어 가상현실(VR) 기기에서 구동되는 게임의 70%가 유니티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만들어졌다.

유니티의 플랫폼은 게임 업계 뿐만 아니라 건축 설계, 자동차 설계, 영화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현실 세계의 공간, 기계, 장비, 사물 등을 가상세계에 구현하는 디지털트윈을 통해서 산업계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리키텔로 CEO는 “건축 설계는 이제 2차원 설계도면이 아니라 디지털트윈으로 ㎜단위까지 그대로 구현한 공간에서 이뤄질 수 있게 됐다”며 “주방을 리모델링할 때 가구, 가전기기를 원하는대로 자유자재로 배치하며 설계할 수 있는 시대가 곧 온다”고 말했다.
디지털트윈이 산업현장의 생산성을 높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리키텔로 CEO는 “현대자동차의 생산·연구개발(R&D)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함께 하고 있다”며 “메타버스를 활용해 인간과 로봇이 함께 일하면 작업의 효율성을 훨씬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유니티는 현재 건설중인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를 구현한 디지털트윈 공장 구축 작업을 하고 있다. 리키텔로 CEO는 “메타버스는 소비자를 중심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증강현실(AR) 안경을 끼고 한 빌딩을 바라보면 그 빌딩의 정보가 제공되고, 식당 간판을 쳐다보면 메뉴와 가격을 알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를 타면 자동으로 가려고 하는 층의 버튼이 눌러지는 세상을 예로 들었다.

한국 시장에 대해서 리키텔로 CEO는 “게임, 메타버스 등 분야의 기술력이 다른 지역보다 2~3년 앞선 시장”이라고 평가했다. 엔씨소프트, 넥슨 등 대형 게임업체를 비롯해 현대차, LG전자 등 대기업이 유니티의 고객이다. 그는 “우리보다 앞서있는 한국 시장을 자주 방문해 배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샌프란시스코=서기열 특파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