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 '기억공간 잇-다' 문화공간, 타 지자체 벤치마킹 잇달아

수원 성매매업소 건물 리모델링한 문화공간
창원특례시의회 의원, 직원들이 지난 18일 ‘기억공간 잇-다’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수원특례시 제공

수원특례시는 문화 공간 ‘기억공간 잇-다’를 벤치마킹하려는 지자체·지방의회·단체 등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구 수원역성매매집결지에 있던 성매매업소 건물을 리모델링해 만든 문화공간이다.

벤치마킹 발길은 지난 13일 파주시 여성가족과 공직자들을 시작으로, 18일에는 창원특례시의회 경제복지여성위원회 의원, 창원특례시 여성가족과 직원들이 잇달아 ‘기억공간 잇-다’를 찾아 기획전 ‘집결지의 기억, 도시의 미래를 잇다’를 관람하고, 수원역 성매매집결지 폐쇄 과정과 성매매피해자 자활지원 사업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오는 22일에는 서울 영등포구 마을재생 민간협의체가 방문해 벤치마킹할 예정이다.지난 8월 개관한 ‘기억공간 잇-다’는 수원역 성매매집결지 내 성매매업소가 있었던 자리에 만들어졌다. 2021년 5월 31일 밤 모든 성매매업소가 자진 폐쇄한 후 소방도로 개설구간 내 잔여지에 있던 성매매업소 건물을 리모델링해 조성했다. 면적 84.23㎡, 단층 건물로 전시 공간과 커뮤니티 공간 등이 있다.

개관 후 첫 번째 기획전 ‘집결지의 기억, 도시의 미래를 잇다’를 열고 있다. 오는 22일까지 진행되는 전시회에서는 수원역성매매집결지 형성, 변천 과정을 볼 수 있는 아카이브를 볼 수 있다.


한편 시 관계자는 “기억공간 ‘잇-다’에서 다양한 전시를 개최하고,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며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수원=윤상연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