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형 주담대 금리 상단도 年 7% '눈앞'

'지표금리' 코픽스 9년 만에 최고
이달 빅스텝 반영되면 추가 상승
고정형(혼합형) 주택담보대출에 이어 변동형 주담대 금리 상단도 연 7%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변동형 주담대 지표 금리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오르고 있어서다. 변동금리로 대출받은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족’과 ‘빚투(빚내서 투자)족’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한층 가중될 전망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 14일 기준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4.50~6.95%로 집계됐다. 고정형(혼합형) 금리는 연 4.89~7.10%로 이미 상단이 연 7%를 넘어섰다.

국내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 금리인 코픽스는 9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8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2.96%로 2013년 1월(2.99%) 이후 9년7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17일 발표되는 9월 코픽스도 전달보다 오를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행이 지난 8월 기준금리를 연 2.25%에서 연 2.5%로 0.25%포인트로 인상한 이후 은행들이 연 4%를 웃도는 예금 상품을 줄줄이 내놓으면서 자금조달 비용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은행 예금 금리가 따라 오르고 다시 코픽스를 끌어올리는 구조다.9월 코픽스가 오르면 당장 18일부터 시중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연 7%를 넘어설 것이란 관측이 유력하다. 이달 기준금리가 연 2.5%에서 연 3.0%로 0.5%포인트 오른 ‘빅스텝’이 반영되는 10월 코픽스는 상승폭이 더 커질 전망이다.

국내 가계부채는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높아 금리 변동에 민감한 편이다. 올 들어 대출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고정금리 대출이 늘어나는 추세지만 은행권의 잔액 기준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여전히 78.5%에 달한다. 지난해 8월 연 3% 금리로 5억원의 변동금리 주담대(30년 만기·원리금 균등상환)를 받았다면 월 이자가 210만원이었지만 지금은 268만원에 달한다. 지난 1년간 코픽스가 0.95%에서 2.96%로 껑충 뛴 탓이다. 연간 이자 부담 증가액만 696만원이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