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99% "고금리 리스크에 속수무책"

금리 인상으로 금융비용 급증
우대금리·상환유예 등 지원 호소
대다수 중소기업이 가파른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비용 급증에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99.6%가 금리 인상에 대한 대응책이 ‘없다’고 밝힌 것이다.

28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복합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중소기업의 69.2%는 ‘고금리 현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했다. 한국과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연이어 올리는 가운데 고금리 리스크 대응 방안에 대해 중소기업의 56.4%는 ‘방안이 없다’고 답했다. ‘마련하고 있으나 다소 불충분하다’(43.2%)는 응답을 합치면 대부분 중소기업이 ‘고금리 쓰나미’에 손을 놓고 있는 셈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일부터 2주간 전국 업종별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고금리 충격을 극복하기 위한 정부 정책으로는 ‘중소기업 우대금리 적용 확대’(40.4%,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만기 연장 및 상환유예 대상 확대’(37.8%), ‘정책자금 지원 확대’(34.6%), ‘재기를 위한 자산매각 지원’(21%) 등의 순이었다.

회사 경영에서 가장 부담을 느끼는 요인은 원자재가격 급등(76.6%)이었다. 금융비용(이자) 부담 증가(13.5%), 환율 상승(7.1%), 인력난 심화(2.8%)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중소기업 72.8%는 작년보다 비싼 가격으로 원자재를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격상승분을 납품단가 또는 판매가에 전부 반영한 중소기업은 2.5%에 불과했다.

고물가에 대응한 정부 정책으로 ‘원자재가격 및 수급정보 제공 지원 강화’(67.8%, 복수응답), ‘원자재 구매금융·보증 지원 강화’(35.6%), ‘납품단가 연동제 조속한 법제화’(33.2%) 등을 요구했다.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은 중소기업은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인력난 등 4중고에 원자재가 상승까지 겹치면서 최악의 경영난에 직면했다”며 “납품단가 연동제 법제화와 대·중소기업의 노동시장 격차 해소 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제주=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