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9월 토지경매, 민간업체 낙찰은 18건 중 1건에 그쳐

부동산 시장 침체로 지방 재정까지 타격
지방정부 수입 40%인 토지사용권 경매 부진
경매 70% 차지하던 민간 참여 급감
사진=연합뉴스
중국 부동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수도 베이징의 토지사용권 경매에서도 18건 중 민간 업체의 낙찰은 단 1건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베이징시는 지난 22일 총 면적 150만㎡, 시작가 합계 472억위안(약 9조4000억원)인 18개 필지의 토지사용권 경매를 마무리했다. 유찰은 없었지만 절반인 9건은 단독 입찰로 시작가에 낙찰됐다. 전체 낙찰 금액은 500억위안으로 시작가보다 6% 높았다. 18건 중 17건은 베이징수도개발, 베이징건공부동산개발 등 국유기업이 가져갔다. 민간 부동산개발업체는 고급 아파트와 사무용 빌딩을 주로 개발하는 룽후그룹 한 곳뿐이었다. 룽후그룹은 시작가인 24억3000만위안에 순이구의 7만㎡ 부지를 낙찰받았다.

중국은 기본적으로 토지가 국가(지방정부) 소유다. 지방정부는 70년 연한의 토지사용권을 경매로 내놔 재정을 충당해 왔다. 작년 기준 지방정부 수입의 41%가 토지사용권 매각이다. 민간 부동산개발업체는 작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토지사용권 경매의 70%를 차지했다.

하지만 지난해 하반기 중국 정부가 집값을 잡는다며 부동산업체에 대한 강력한 대출 제한 정책을 실시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대출로 토지사용권 매입과 건설비 등을 충당하던 업체들의 유동성이 말라 버린 것이다. 헝다 등 대형 업체의 잇따른 디폴트(채무불이행)로 주택 구매 심리가 악화하자 집값은 떨어지고 업체의 재무 상태는 더 악화했다. 중국 100대 부동산개발업체의 올 8월까지 주택판매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2.9% 줄었다. 민간 업체들의 이탈로 지방정부의 토지사용권 매각 수입이 줄어들면서 재정 상황도 나빠지고 있다. 중국 31개 성·시가 올 상반기에 모두 재정 적자를 냈다. 상반기에 보통 적자를 보던 지역도 많지만, 올해는 손실 폭이 더 커졌다.

중국 당국은 부동산 경기를 살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중국 5대 국유 상업은행 중 하나인 건설은행은 부동산업체들로부터 미분양 아파트를 인수하는 300억위안(약 6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다. 건설은행은 인수한 아파트를 임대주택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중국 공산당과 정부는 지난해 부동산 산업 규제를 늘리는 동시에 서민에게 적정한 가격에 주거지를 공급하는 '보장성 임대주택' 제도를 들고나왔다. 국유기업을 동원한 임대주택 사업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은 또 민간 업체들에도 아파트 판매 대신 임대 사업을 늘리라고 요구하고 있다. 중국은 올들어 5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인 5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0.15%포인트씩 인하했다. 자금난으로 완성하지 못한 아파트 완공용 대출을 2000억위안 조성하고, 금융권에는 '자격을 갖춘' 업체들에 대한 대출을 늘리라고 주문하고 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