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삭스 "에스티로더,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내년 중국 매출 15% 반등 기대 등 매출 가속화 경로 들어서
화장품 업체들 북미 시장에서 코비드 영향 벗어나
골드만 삭스는 화장품업체 에스티로더(EL)이 팬데믹을 벗어나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며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했다. 목표 주가는 298달러에서 303달러로 올렸다. 현재가보다 26% 상승 여력이 있는 수준이다.

21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골드만 삭스는 코비드-19에서 벗어나고 있는 화장품 업계 가운데서도 강력한 매출 성장 가속화 도로에 들어섰다며 투자 의견을 이같이 올렸다. 골드만 삭스의 분석가 제이슨 잉글리시는 이 화장품 회사가 특히 아시아 지역 판매 비중이 높은 가운데 최대 시장인 중국의 코비드19 폐쇄 조치로 큰 타격을 입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주가가 35% 하락했지만, 중국의 코비드 19 정책 완화가 기대되며 2023년에는 중국 매출이 1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이 같은 일시적 사건과 관련된 불확실성으로 주가가 약세일 때는 사는 것이라는 걸 역사는 가르친다고 강조했다.

에스티 로더는 1분기에 중국의 코비드19 폐쇄 및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의 영향으로 연간 매출 전망치 및 조정 순익 가이던스를 크게 낮췄다. 이에 따라 팬데믹 초기의 주가 수준으로떨어졌었다. 팬데믹 기간에 전반적으로 하락한 화장품 업종은 최근 외출과 사회적 활동이 재개되고 사무실 출근이 늘면서 다시 수요가 늘고 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