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폭탄 피하자"…멕시코에 둥지 트는 中 기업


미국의 관세 폭탄을 피하려는 중국 제조업체들이 미국 국경과 인접한 멕시코에 둥지를 틀고 있다. 고율의 관세 없이 미국 시장에 수출할 수 있을뿐 아니라 공급망 단축 효과까지 누릴 수 있어서다.

블룸버그는 멕시코 북부에 위치한 호푸산 공업단지가 중국 제조업체들의 피난처가 되고 있다고 14일 보도했다. 미국의 남쪽 국경과 가까운 이 곳엔 현재 10여개의 중국 회사가 세운 공장들이 자리잡고 있다. 중국에 대한 미국 정부의 고율 관세가 적용된 2018년부터 중국 공장들이 우후죽순으로 들어섰다는 설명이다. 호푸산 공단 관계자는 "2년 안에 중국 업체가 3배 넘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중국 제조업체들은 이곳에서 '무(無)관세' 혜택을 챙길 수 있다. 멕시코가 미국·캐나다와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덕이다. 같은 제품이라도 중국에서 생산된 의자가 미국에 수출될 경우 25%의 관세가 붙지만 멕시코에서 만들어지면 관세 없이 판매된다. 멕시코에선 코로나19 봉쇄 정책으로 인한 공급망 피해도 줄일 수 있다.

최근에는 중국 내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중국에 남아있어야 할 이유도 사라졌다. 전자제품 업체 하이센스,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항저우XZB테크, 가구업체 쿠카홈 등 각종 중국 기업들이 호푸산 공단을 찾아온 배경이다. 쿠카홈의 사이먼 황 매니저는 "미국과 좋은 거래를 하려면 미국 시장과 가까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멕시코에 대한 중국의 투자액은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다. 2016년 1억5400만달러(약 2140억원)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이 취임한 이듬해 2억7100만달러로 76%급증했다. 지난해 투자 규모는 5억달러로 불어났다. 일부 멕시코 지역은 세금 혜택을 앞세우며 중국 기업 유치에 나섰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에 대해 급여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거나 미국 국경으로 향하는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등 적극적으로 구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