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밥상에 쇄신보다 민생"…대통령실 '일상 감찰'로 전환

정무·시민사회수석실 끝으로 인적 개편 마무리
추석 후 대대적 조직진단보다 평시 체제로 운영
'인사 실패' 책임론에도 인사 라인은 칼날 피해
윤핵관 일선 퇴진과 함께 '권력 중추 교체' 신호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대통령실이 추석 전에 1차 인적 개편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정무·시민사회수석실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개편이 이뤄졌지만 인사비서관실 등 검찰 출신이 주도하는 '인사 라인'은 쇄신의 칼날을 피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추석 밥상에는 인적 쇄신보다는 민생을 올려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대통령실 전반에 이뤄지고 있는 인적 쇄신과 관련해 "큰 불길은 잡았다"고 밝혔다. 정무·시민사회수석실을 중심으로 보안 유출·업무 적합도 등이 문제가 된 인사를 솎아내 1차적인 인적 개편은 마무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추석 이후에는 현재의 대대적인 조직 재진단 체제를 일상적인 감찰로 전환할 예정이다.

대통령실 안팎에서 불거진 '인사라인 책임론'에도 불구하고 인사비서관·공직기강비서관실에 대한 인적 개편은 하지 않기로 가닥을 잡았다. 배우자 신 모씨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출장길에 대통령 전용기에 동승해 논란이 된 이원모 인사비서관도 유임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출근길 회견(도어스테핑)에서 '대통령이 직원에 대한 최고도 역량을 강조해 인적 쇄신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같은 원칙이 검찰 출신들에게만 예외로 적용되는 게 아니냐는 얘기가 대통령실 내외부에서 나오고 있다'라는 질문을 받자 "잘 살펴보겠다"고 짧게 답하고 집무실로 이동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일 대통령실 출근길 회견에서 '검찰 출신 인사들은 인적 쇄신의 예외라는 지적이 내외부에서 나온다'라는 질문에 "살펴보겠다"라고 답한 뒤 집무실로 이동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같은 대통령실 기류는 여당의 장제원 의원·권성동 원내대표 등 '윤핵관'의 일선 퇴진과 맞물려 "핵심 권력층이 바뀌었다"는 해석을 낳고 있다. 윤 대통령이 대통령 선거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활동 기간 윤핵관에 잠시 권력을 부여했지만 △당 장악 실패 △여권 내 권력다툼 △대통령실 내 보안 유출 등의 사건으로 신임을 거둬들였다는 분석이다.

대통령실 다른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은 누군가에게 힘을 전적으로 주지 않는다"라며 "3개월이라는 시간을 윤핵관들에게 줬지만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한 것 아니겠느냐"고 평가했다. 윤핵관을 대신할 새로운 권력 중추로 김대기 비서실장과 대통령실 안팎의 검찰 출신 인사들이 떠오르고 있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