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회사는 참 좋은데…이미지 올드해서 주가 안 오른다"

뉴스 카페

포스코포럼서 전문가 특강
"신사업 성과·비전 적극 알려야
투자자도 주식 사고싶어 할 것"
“포스코홀딩스 이미지는 올드하고 보수적입니다.”

지난달 30일 인천 송도 포스코인재창조원. 주식시장에서 ‘염블리’로 통하는 염승환 이베스트투자증권 이사가 투자자 불만을 담은 프레젠테이션(PT)을 공개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사진)을 비롯해 그룹 계열사 전 임직원이 참석한 포스코포럼에서다. 포럼 연사들은 임원들에게 “무거운 이미지에서 탈피하기 위해 신사업의 성과와 비전을 적극 알리고 추진해달라”고 주문했다.지난달 30일부터 1일까지 열린 포스코포럼은 전 계열사 임원을 불러 토론하고 강의를 듣는 자리다. 올해는 염 이사뿐 아니라 이근 서울대 경제학부 석좌교수, 신관호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윤영관 서울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조남진 딜로이트 리스크자문본부장, 김태엽 어펄마캐피탈 대표 등이 연사로 참석했다. 박기수 SK온 부사장, 강주엽 기아 신사업기획실장, 허윤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 수석부장 등 산업계 전문가들도 강연대에 올랐다.

염 이사는 “주주들이 보는 포스코홀딩스의 부정적 이미지를 깨려면 소액주주들을 위한 온라인 기업설명회(IR)를 추진하고 신사업의 성과와 계획을 정기적으로 공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력사와의 관계를 재설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교수는 “고객사와 비교해 협력사와의 협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며 “포스코그룹의 특허를 일부 협력사에 공개하고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에 협력사도 포함하라”고 제언했다.조 본부장은 “일부 글로벌 기업들이 탄소중립을 선언하면서 포스코를 비롯한 공급 업체에도 탄소 감축을 요구할 수 있다”며 “기후변화 리스크에 직면한 상황인 만큼 대응 전략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포스코그룹은 볼트온(동종업계 인수합병으로 시장지배력을 확대하고 회사 가치를 끌어올리는 것) 전략을 전개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며 “산업 밸류체인(가치사슬)을 꿰뚫고 있는 데다 인수자금도 풍부하다”며 인수합병(M&A)을 독려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