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값 폭등에 이자부담까지…기업대출도 연 4% 넘었다 [조미현의 외환·금융 워치]

사진=뉴스1
기준금리가 연속적으로 인상되면서 지난달 은행권 전체 대출금리가 약 8년 만에 처음으로 연 4%를 넘어섰다. 가계대출에 이어 기업대출 금리마저 연 4%대로 치솟은 데 따른 것이다. 원자재 가격 급등과 함께 이자 부담이 기업의 이중고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7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전달보다 0.31%포인트 오른 연 4.21%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4년 7월(4.39%) 이래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업대출은 지난 2014년 10월(4.14%) 이후 7년 9개월 만에 처음으로 4%대를 돌파했다. 예금은행의 전체 기업대출 금리는 전달(3.84%)보다 0.28%포인트 오른 연 4.12%였다. 대기업 대출 금리는 이 기간 0.25%포인트 상승한 3.84%를 기록했다.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연 4.36%로, 같은 기간 0.3%포인트 올랐다.
사진=연합뉴스
가계대출 금리의 오름세도 지속됐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전달보다 0.29%포인트 상승한 연 4.52%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 3월(연 4.55%) 이후 9년 4개월 만에 최고치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0.12%포인트 오른 연 4.16%였다.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전달보다 0.09%포인트 내린 연 5.91%로 집계됐다. 박창현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 차장은 "전반적으로 코픽스 등 단기 지표금리가 오르면서 가계대출 금리가 상승했다"며 "신용대출의 경우 씨티은행 관련 대환대출 등에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적용하면서 소폭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제2금융권의 대출금리 상승 폭은 가팔랐다. 상호저축은행의 일반대출 금리는 0.74%포인트 오른 연 10.53%로 치솟았다. 신용협동조합의 대출금리는 0.24%포인트 상승한 연 5.04%였다. 농협 등 상호금융은 연 4.46%로, 같은 기간 0.23%포인트 올랐다. 새마을금고는 0.13%포인트 상승한 연 4.17%로 집계됐다.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평균 금리는 연 2.41%에서 연 2.93%로 0.52%포인트 올랐다. 지난 2013년 2월(2.94%) 이후 9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달 한은이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한 효과가 바로 반영됐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 설명이다.

예금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 즉 예대마진은 1.28%포인트로 6월(1.49%)보다 0.21%포인트 축소됐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