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거펀드 설립 '헤지펀드의 전설' 로버트슨 별세

삶의 발자취

조지 소로스와 월가 양대산맥
타이거펀드를 설립한 전설적인 헤지펀드 매니저 줄리언 로버트슨이 별세했다. 향년 90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로버트슨이 이날 미국 뉴욕 맨해튼의 자택에서 심장 관련 질환으로 숨을 거뒀다고 보도했다. 억만장자인 로버트슨은 조지 소로스와 함께 월스트리트의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투자가다.그는 1980년 가족과 지인들에게 800만달러(약 107억원)를 투자받아 타이거펀드를 설립했다. 타이거펀드는 출범한 해에 54.9%라는 경이적인 이익을 거뒀다. 이후에도 연평균 25%가 넘는 수익을 올리면서 10여 년 만에 220억달러(약 29조40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타이거펀드는 1998년 외환위기 직후 SK텔레콤의 대주주로서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해 국내에도 많이 알려졌다.

로버트슨의 투자 비결은 단타 대신 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의 주식을 장기간 보유하는 가치투자였다. 반대로 내실이 없는데도 주가가 비싼 기업에 대해선 과감하게 공매도를 시도했다. 가치투자라는 원칙은 성공 요인이었지만, 그의 발목을 잡는 원인도 제공했다.

로버트슨은 닷컴버블 당시에도 가치투자라는 원칙을 고수하면서 기술주를 대규모로 공매도했다. 그러나 시장은 그의 판단과 반대로 움직였다. 1999년에는 19%에 달하는 손실을 봤고, 이듬해 초반에도 13.5%의 자산이 사라졌다. 자신에게 돈을 맡긴 고객들의 불만이 쇄도하자 로버트슨은 투자금을 돌려주고 타이거펀드를 정리했다. 가치투자라는 자신의 원칙이 더 이상 시장에서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그러나 그가 타이거펀드를 정리한 날부터 공매도 대상이던 닷컴주의 거품이 꺼지기 시작했다. 또한 타이거펀드가 보유했던 기업의 주식이 오르기 시작하면서 가치투자라는 그의 원칙이 틀리지 않았다는 점이 뒤늦게 확인됐다.

‘빅 타이거’라는 별명을 지녔던 그는 1932년 노스캐롤라이나주(州)의 섬유회사 경영인 가정에서 출생했으며 노스캐롤라이나대를 졸업한 뒤 해군에서 장교로 복무했다.

전역 이후 뉴욕의 한 증권회사에 주식중개인으로 취직한 뒤 투자 부문 책임자 자리까지 올랐지만, 회사를 그만두고 소설을 쓰겠다며 가족과 함께 뉴질랜드로 떠났다. 로버트슨이 1년간의 뉴질랜드 생활을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와 세운 회사가 타이거펀드다.

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