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부채비율 6544%…통합 항공사 난기류 만나나

고환율에 외화환산손실 급증
아시아나항공의 재무구조가 올 들어 급격하게 훼손됐다. 상반기 말 기준 부채비율이 6544%를 웃돌았다. 이 회사를 인수하는 대한항공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차입금 부담 탓에 야심 차게 이뤄진 합병이 ‘승자의 저주’로 귀결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올 6월 말 부채비율이 6544.6%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보다 4133.9%포인트 올랐다. 아시아나항공은 올 상반기 영업이익으로 2830억원을 올려 작년 상반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운송료가 치솟으면서 화물사업 실적이 급격히 좋아진 결과다.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했지만, 당기순손실이 2595억원에 달했다. 외화환산 손실이 급격하게 불어난 결과다.영업외비용으로 분류되는 외화환산손실은 올 상반기 4163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상반기(1983억원)보다 두 배 이상 많아졌다. 항공기를 들여오는 과정 등에서 조달한 외화차입금이 올 6월 말 기준 4조8664억원에 달하다 보니 이자 비용이 상당하다는 설명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이 외화차입금의 이자 비용·리스료 등을 달러로 지급해야 한다. 올 들어 환율이 달러당 1300원 선까지 고공행진(원화 가치 약세)하면서 원화로 환산한 달러 이자 비용 등이 늘었고 불어난 비용만큼을 외화환산손실로 처리했다.

아시아나항공의 나빠진 재무구조는 이 회사 합병을 추진하는 대한항공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위해 지난 2월 공정거래위원회의 조건부 결합 승인을 받았다. 현재는 미국과 유럽연합(EU) 경쟁당국의 기업결합 심사를 기다리고 있다.문제는 전체 빚이 수십조원에 달한다는 데 있다. 영업이익으로 빚을 줄이는 게 쉽지 않다는 얘기다. 아시아나항공의 총차입금은 6월 말 기준 8조2074억원에 이른다. 대한항공의 차입금 역시 12조1846억원에 달한다. 두 회사의 합산 차입금은 20조원이 넘는다는 계산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