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바이오, 세계폐암학회서 4세대 폐암치료제 1상 중간결과 발표

말기 암환자 대상 긍정적인 효력
액체생검 통한 분자진단 기술 접목
지난 8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된 세계폐암학회에서 임선민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교수가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의 4세대 EGFR 저해제 ‘BBT-176’의 임상 1상 중간발표를 진행하고 있다./사진 제공=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2022 세계폐암학회(IASLC 2022 WCLC)’에서 차세대 비소세포폐암 후보물질 ‘BBT-176’의 임상 1상 성격인 용량상승시험의 긍정적인 중간 데이터를 구두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IASLC 2022 WCLC는 지난 6일부터 이날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대면으로 개최된다. 브릿지바이오는 지난 8일 구두 발표를 진행했다. 발표는 임선민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교수가 맡았다. BBT-176의 임상 1상 데이터는 전산화단층촬영(CT) 등 기존의 시각적 기준에 근간한 치료 반응 분석과 더불어, 혈액 샘플에 기반한 액체생검 방식을 활용했다. 환자의 암세포에서 떨어져 나온 순환 종양 DNA(ctDNA)와 같은 분자유전학적 반응(molecular response) 분석을 포함했다는 설명이다.

BBT-176은은 4세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EGFR TKI)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 임상 1·2상의 용량상승시험 가운데 주용량군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가속승인 근거 자료를 미리 확보하기 위한 추가 확장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발표를 통해 공개된 용량상승시험 데이터는 5월 말 기준으로 집계됐다. 복약 중단 없이 100일 이상 지속적으로 BBT-176 치료를 이어 나가고 있는 임상시험 대상자들의 방사선학적 반응(radiologic response)과 분자유전학적 반응(molecular response)의 상관성에 대한 데이터가 구체적으로 공개됐다. 액체생검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BBT-176이 표적하는 ‘C797S’ 포함 DTC 삼중 돌연변이 동반 환자의 경우, 최대 53%까지 EGFR 유전자 검출 빈도 감소를 나타냈다. 방사선학적으로도 유의미한 수준의 종양 크기 감소를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또 이번 발표를 통해 1상의 1차 유효성 평가지표인 약물 안전성 관련 내용도 언급됐다. 현재까지 진행된 임상결과에서 용량에 비례하는 안정적인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확인했다.

주요 이상반응으로는 낮은 등급의 위장관 부작용과 피부 발진 등이 관찰돼,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했다. 임선민 교수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임상 1·2상 단계의 첫 파트인 용량상승시험을 통해 치료를 이어가고 있는 임상 사례를 확인하고 있다”며 “더 이상 치료 대안이 없는 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이어나가며 최적의 유효 용량을 살피고, 항종양 효력 및 내약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 대표는 “전 세계 폐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BBT-176의 성공적인 임상 데이터를 최초로 선보이게 돼 뜻깊다”며 “향후 임상 개발의 가속화와 더불어 동반진단 등 새로운 기술로 폐암 치료 패러다임의 혁신을 더하고, 보다 효과적인 폐암 치료 옵션을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BBT-176은 2021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의 ‘신약 임상개발’ 부문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

김예나 기자 yen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