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진영·팬덤정치와 결별해야…尹과 개헌 논의할 것"

김진표 국회의장 첫 기자간담회서
협치 당부하며 여야에 ‘쓴소리’

“소수 극단에 정당과 국민 멀어져”
이재명·이준석 겨냥 해석도

대통령 4년 중임제 개헌 강조
윤 대통령과 개헌 논의할 듯
김진표 국회의장이 28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진영정치, 팬덤정치와 결별하는 결단도 필요합니다. 소수의 극단에 끌려다니는 정치는 정당과 국민 사이를 멀어지게 만드는 핵심 원인입니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28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여야에 협치를 위한 변화를 당부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의장은 경제관료 출신으로 더불어민주당에서 5선을 한 중도·온건 성향 정치인이다. 지난 4일 후반기 의장으로 선출됐다.김 의장의 ‘진영·팬덤정치와 결별’ 발언을 두고 정치권에서는 “협치보단 지지세 결집에 골몰한다는 이재명 민주당 의원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반응이 나왔다.

이 의원은 자신의 팬덤인 '개딸(개혁의딸)'의 전폭적 지지를 등에 업고 차기 당 대표 당선이 유력한 상황이다. 이 대표는 '성상납 의혹'으로 당원권 정지라는 중징계를 받았지만 이후 전국을 돌며 사실상 '장외 투쟁'을 벌이고 있다.

‘여소야대’ 정국에 대해 김 의장은 “양당이 모두 생소한 환경에 직면했다”며 고언을 아끼지 않았다. 우선 여당인 국민의힘에는 “야당 시절의 모습을 버리고 속히 ‘소수 여당’에 맞는 옷으로 갈아입으라”고 주문했다.야당이 된 ‘친정’ 민주당에 대해선 “국민은 정부 견제에 집중하는 일반적인 야당 그 이상의 책임을 요구한다”며 “절제의 미덕을 발휘하는 성숙한 야당의 모습을 기대한다”고 했다.

‘대통령 4년 중임제’ 등을 골자로 한 개헌 필요성은 재차 강조했다. 김 의장은 “여야가 모두 합의할 수 있고 국민이 간절히 원하는 대통령 4년 중임제나 대통령에 집중된 권한을 국회로 옮기는 방안 등은 여야가 합의해 먼저 개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김 의장은 다음달로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과의 만찬 회동에서 개헌 문제를 논의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그는 "개헌을 포함해서 모든 정책 현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개헌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에 대해 김 의장은 “(개헌을 쉽게 하는)‘연성헌법’으로 가는 방안을 검토할 때가 됐다”고 했다.

김 의장은 “지금 우리 헌법은 개헌을 어렵게 하는 ‘경성헌법’으로 국민투표 등 절차가 복잡하다 보니 개헌이 모든 정치적 에너지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처럼 여겨진다”며 “국회의원 3분의 2 이상 동의하면 개헌을 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고 했다.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로 후반기 원 구성이 53일간 지연된 것에는 ‘절차적 해결’을 강조했다. 김 의장은 “상임위 구성의 원칙과 절차를 국회법 내에서 제도적으로 마련해 (회기 시작 후) 1~2주 내에는 원 구성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여야가 정치개혁특별위원회 내 국회선진화소위에서 우선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다만 일각에서 제기된 ‘세비 반납’ 요구에 대해선 “(원 구성 지연이)의원 개개인의 책임으로 보긴 어렵다”고 일축했다. 김 의장은 “지난 53일 간 470여개 법안이 발의됐다”며 “의원들이 아무것도 안 하고 놀며 세비를 받은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상설화 등 국회의 예산심사 기능 강화를 추진할 뜻도 밝혔다. 앞서 맹성규 민주당 의원은 이런 방안을 담은 '예산심의 강화 3법'을 지난달 김 의장과 함께 발의했다.

김 의장은 “예산 편성 단계에서부터 각 상임위와 예결위가 국회 차원의 의견을 미리 정부에 주고, 정부는 그것을 참고해 예산을 편성하는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