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미국에 38조 쏟아붓는다…반도체-배터리 집중 투자

반도체·배터리·그린·바이오 4대축 투자
생산거점-일자리 창출…한·미 '윈-윈' 경제모델
SK그룹이 미국에서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그린, 바이오 등 4대 핵심 성장동력 분야에 220억달러(한화 약 29조원)를 추가 투자한다. 앞서 밝힌 70억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까지 합치면 총 300억달러에 이른다.

미국을 방문 중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한국시간으로 27일 새벽(미국시간 26일 오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화상 면담을 하고 향후 대미 투자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미국에 220억달러(약 29조원)를 신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밝힌 7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 분야 투자를 포함하면 총 대미투자액은 290억달러(약 38조원)에 달한다.

신규 투자액 220억달러 가운데 150억달러(약 20조원)는 반도체 분야에 쓰인다. 이 투자금을 활용해 미국 대학교를 선정해 반도체 연구·개발(R&D) 협력을 할 계획이다. 또 메모리 반도체 첨단 패키징 제조 시설을 새로 설립하기로 했다.

SK하이닉스는 미국 서부에 1조원 이상을 투자해 개방형 혁신을 지향하는 R&D 센터를 짓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특히 반도체 R&D 투자는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만 그치지 않고 SK하이닉스의 기술력 강화로 이어져 메모리 등 한국 반도체 산업의 본질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SK그룹은 설명했다.SK는 첨단 소형 원자로 등 그린 에너지 분야에도 50억달러(약 6조5000억원)의 신규 투자를 단행하기로 했다. 이미 SK와 SK이노베이션은 미국 테라파워와 '포괄적 사업협력'(MOU)을 체결하고 소형 모듈 원자로(SMR) 기반 프로젝트를 공동 추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SK는 테라파워와 SMR 공동 기술개발 및 구축, 마케팅 등 다양한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SK는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 바이오 분야에도 20억달러(약 2조6000억원)를 투자한다. 앞서 SK는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의 지주회사로 미국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에 SK팜테코를 설립했다. SK팜테코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의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인 'CBM'(The Center for Breakthrough Medicines)에 3억5000만달러를 투자한 바 있다.

SK는 전기차 배터리 분야뿐 아니라 그린 에너지 분야에 대규모로 투자를 할 경우 SK와 협력 중인 한국의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미국 진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 시장 진출과 국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최 회장과 바이든 대통령 간 면담에는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유정준 SK 북미 대외협력 총괄 부회장 등 SK 측 인사와 지나 러몬도(Gina M. Raimondo) 상무장관, 브라이언 디스(Brian Deese)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알리 자이디(Ali Zaidi) 백악관 환경 어드바이저 등 미국 측 인사가 배석했다.

최 회장은 "한미 양국은 21세기 세계 경제를 주도할 기술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며 "이 같은 협력은 핵심 기술과 관련한 공급망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SK는 투자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혁신, 일자리 창출 등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며 "미 행정부의 적극적 지지와 협력으로 함께 번영할 수 있다는 데 감사하다"고 했다.바이든 대통령은 SK그룹의 투자에 여러 차례 "땡큐"를 연발하며 감사의 뜻을 표했다. 그는 "SK그룹이 22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추가로 단행하면 미국 내 일자리는 2025년까지 4000개에서 2만개까지 늘어날 것"이라면서 강한 기대감을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