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국내 기업 최초로 '기술윤리 위원회' 신설

카카오가 그룹을 아울러 기술 관련 윤리 이행 여부 등을 점검하는 기술윤리위원회를 신설했다. 국내 기업 중 최초다. 카카오 내엔 인권과 기술윤리를 전담하는 팀도 만들어 디지털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 실천을 강화하기로 했다.

카카오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CAC)는 '카카오 공동체 기술윤리 위원회'를 출범한다고 25일 밝혔다. 이 위원회는 카카오 전반에 걸쳐 기술 윤리를 점검하고, 기술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내는 방안을 연구한다는 방침이다. 카카오 공동체 기술윤리 위원회는 카카오 산하 서비스의 인공지능(AI) 윤리 규정 준수 여부를 따지고 기술 관련 위험성을 점검할 예정이다. 알고리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개선 업무도 수행한다.

위원회는 총 8명으로 구성했다. 이채영 카카오 기술부문장이 위원장을 맡는다. 주요 계열사의 기술 관련 임원들이 위원을 맡는다. 안양수 카카오게임즈 최고기술책임자(CTO), 나호열 카카오페이 기술총괄부사장(CTO), 김기범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최고기술책임자(CTO),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 강성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수석부사장, 김광섭 카카오브레인 최고기술책임자(CTO), 김대원 카카오 인권과 기술윤리팀장 등이다.

카카오뱅크도 기술윤리 위원회 논의에 참여한다. 위원을 두지 않은 계열사의 경우에도 사안 등에 따라 주요 임원이나 실무자가 논의에 함께 한다는 설명이다. 카카오는 각 계열사 내에 기술윤리 전담 조직을 만들고 관련 현안에 대해 정례 회의도 열기로 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사회의 건강성을 도모하고 기술과 윤리를 조화롭게 발전시키는 게 목표다.

카카오 내엔 인권과 기술윤리 관련 정책 수립을 담당하는 ‘인권과 기술윤리팀’을 신설했다. 이 팀을 통해 국제 인권 규범과 국내외 인권경영 정책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권친화적 경영활동을 펼친다는 구상이다. 인권과 기술윤리팀은 알고리즘 윤리 확립, 디지털 포용도와 접근성 제고, 이용자 보호 등 기술윤리 관련 정책 강화 업무도 담당한다. 주요 업무는 기술윤리 위원회와 협업할 전망이다.

카카오는 2018년 1월 국내 기업 최초로 ‘AI 알고리즘 윤리 헌장’을 제정해 발표했다. 작년엔 전 직원을 대상으로 AI 알고리즘 윤리 교육을 벌였다. 홍은택 각자대표는 “카카오 공동체 기술윤리 위원회는 카카오가 IT 기술 선도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기 위한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조직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카카오 공동체가 함께 안전하고 건강한 기술 윤리를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앞장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