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촌주공 시공단, 사업비 대출 대위변제 준비작업

주거래 은행, 증권사와 자금조달 계획 조율
조합원 이주비 대출은 일단 연장으로 가닥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현장. 사진=뉴스1
둔촌주공 재건축 시공단이 대주단에게 조합의 사업비 대출을 대신 갚기로 하고 관련 자금 조달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은 조합 내분과 시공사·정비업체와 분쟁 등으로 지난 4월 공사가 중단됐다. 사업비를 대출해준 금융사들은 다음달 만기인 대출의 연장이 불가하다고 통보한 상태다.

22일 건설·금융업계에 따르면 둔촌주공 재건축 시공단(현대·대우·롯데건설, 현대산업개발) 가운데 복수의 건설사가 대주단에 보증계약에 따른 조합 사업비 대출 대위변제 의향을 밝히고 자신들의 주거래 은행·증권사와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건설사들은 대주단 소속 24개 금융회사 가운데 일부와 각각 보증계약을 맺었기 때문에 개별적인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시중은행 등 일부 금융사들은 건설사의 요청을 두고 놓고 명확한 입장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대출 연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건설사로부터 상환 받고 사업에서 빠지는 게 원칙이다. 하지만 이미지 훼손 등 예상치 못한 타격도 우려되기 때문이다. 일부 금융사들은 내심 사업비 대출 연체도 기대하고 있다. 한 대형 금융사 관계자는 “둔촌주공은 6000여명 조합원과 가족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심이 쏠리는 곳”이라며 "실제로 돈을 떼일 가능성도 낮기 때문에 금융사들이 어떻게 처리하는지 서로 눈치를 보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둔촌주공 재건축을 둘러싼 분쟁이 계속되고 있어 대위변제는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당초 조합은 타 금융사들에게 8000억원의 새 대출을 일으키는 방안 등을 검토한다고 조합원에게 알렸으나, 김현철 조합장이 지난 17일 돌연 사임하고 대환대출 추진도 포기했다. 시공사 관계자는 “사업이 계속 지연되는 상황에서 대출이 연체되면 고율의 연체 이자가 발생해 손해가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일단 사업비 대출을 갚는 게 불가피하다”고 전했다.

한편 대주단은 총 1조4000억원 규모의 조합원 이주비 대출의 경우 건설사의 보증 없이도 내년 1월까지 일단 연장을 해 주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시중은행들은 조합원에게 영업점을 방문해 기한 연기 서류를 작성하라고 안내하는 등 실무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