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극적 타결 가능성 제기…"끝장 교섭 돌입"

극한 대립으로 치닫고 있던 대우조선해양 사태가 극적 타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양측은 교섭을 재개하며 '최최종안(최종안의 최종안)'을 제출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19일 정부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사는 이날 오후 4시부터 교섭을 다시 진행 중이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양측은 이정식 고용부 장관에게 '진전된 최최종안'을 제출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이 관계자는 "아직 이견이 크지만 오늘 밤샘이라도 해서 끝까지 교섭을 해보자는 점에는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다른 정부 관계자도 "4시에 시작된 교섭의 제한 시간은 두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도 "노사 모두 정부와 지역 사회 등의 강력한 압박에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고 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하청지회 측은 올해 5%, 내년 10% 임금 인상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측은 10% 인상안에 대해선 감당할 수 없는 규모라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지만 30% 인상안만 고집하던 하청지회가 수정안을 제시한 것 자체에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부산지방경찰청 소속 기동대가 20일 대우조선해양 등에 배치될 예정이라 공권력 투입이 임박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경찰청 관계자는 "부산경찰청에서 기동대 4개 중대를 파견한 건 맞지만 공권력 투입을 위한 건 전혀 아니다"며 "20일 있을 집회 관리 차원에서 보낸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오늘 끝장 협상이 결렬될 경우 극단 대립으로 치닫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날 오전 국무회의에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출근길 약식 기자회견에서 ‘대우조선과 관련해 공권력 투입까지 생각하고 있는지’라는 질문에 “국민이나 정부나 기다릴 만큼 기다리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정부는 전날 ‘대우조선해양 사태 관련 관계부처 합동 담화문’을 내 ‘법과 원칙에 따른 엄정 대응’을 예고하는 등 ‘최후통첩’을 날리기도 했다. 공권력 투입이 입박했다는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민주노총 전국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는 지난달 2일부터 임금 30% 인상과 전임자 등 노조활동 인정 등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했다. 지회는 현재 옥포조선소 제1도크에서 건조 중인 초대형 원유운반선을 점거하고 농성 중이다.

곽용희/ 구민기 기자 ky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