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더 뛴 농산물값…고구마는 '나홀로 약세'

팜에어·한경 농산물 가격지수

재배면적 늘어 공급 과잉 이어져
부추·양배추 등은 급등세 계속
봄 가뭄과 장마, 폭염 등의 여파로 농산물 가격이 폭등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고구마만 ‘나 홀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2년간 고구마 가격이 많이 올라 재배면적을 확대한 농가가 많은 게 공급 과잉으로 이어졌다. 이에 따라 올 들어 가격이 내려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5일 농산물 가격 예측 시스템 ‘팜에어·한경’에 따르면 전날 기준 고구마 도매가격은 ㎏당 1213원으로 전월 평균 가격보다 17.3% 떨어졌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46.8% 하락했다.이 시스템이 가격을 집계하는 22개 농산물 중 전년 동월 대비 가격이 내려간 작물은 고구마와 파프리카뿐이다. 나머지 20개 농산물은 봄 가뭄으로 인한 생육 부진과 장마, 폭염 등으로 모두 가격이 강세다.

고구마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는 이유는 시장에 물량이 많이 풀렸기 때문이다. 지난해 고구마 평균 가격은 ㎏당 2520원으로 최근 10년간 평균(1901원)에 비해 32.6% 높게 형성됐다. 2020년 고구마 평균 가격은 2599원으로 지난해보다 더 비쌌다.

고구마 가격이 강세를 보이자 산지에선 재배면적을 앞다퉈 늘렸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2만948㏊였던 국내 고구마 재배면적은 2020년 2만2262㏊, 지난해 2만3236㏊로 늘어났다. 재배면적이 늘어나자 출하 물량이 급증했고, 가격이 내려간 것이다.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현재 시장에 풀리는 고구마는 지난해 수확한 저장 고구마”라며 “재배면적 확대로 지난해 수확량이 늘어나 공급 과잉으로 인해 가격이 내려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고구마의 인기가 예전만 못한 것도 가격 하락의 원인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업계에선 앞으로 고구마 가격이 더 내려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뿌리채소류를 주로 취급하는 청과도매업체 관계자는 “올가을 햇고구마가 출하되기 전까지 지난해 수확한 저장 고구마 물량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면 가격이 더 내려갈 수 있다”며 “햇고구마가 나오면 가격이 다시 올라가긴 하겠지만 지금 분위기로는 예년에 비해 좋은 값을 받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른 농산물 가격은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부추 가격은 ㎏당 5386원으로 전주 대비 71.9% 급등했다. 전년 동월보다는 세 배 가까이 가격이 뛰었다. 양배추와 토마토 가격은 각각 전주 대비 51.9%, 50.7% 올랐다.㎏당 1만원을 돌파하는 등 급등세를 보이던 상추 가격은 8864원으로 전주 대비 26.9% 하락했다. 하지만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여전히 두 배가량 비싼 수준이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