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스마트폰 출하 1000만대 줄어…'소비절벽' 하반기가 더 걱정

R의 공포에 발목잡힌 2분기

영업익 14조 중 10조가 반도체
서버용 수요·强달러 효과 '선방'
보복소비 끝물…가전이익 25%↓
원자재·물류비도 이익 갉아먹어

올 실적 눈높이 잇따라 하향
3분기 D램값 10% 하락 전망
하반기에 경기 둔화 본격 반영
이달에만 이익 전망 6조 낮아져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매출 77조원, 영업이익 14조원을 올린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발표했다. 지난해 3분기부터 세 분기 연속 이어왔던 ‘역대 최고 매출 행진’이 멈췄다. 이날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딜라이트 매장에 ‘갤럭시S22’가 진열돼 있다. 김병언 기자
삼성전자의 세 분기 연속 ‘최대 매출 행진’에 제동을 건 것은 인플레이션이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원자재와 곡물 가격 급등이 물가 상승에 불을 지피면서 소비자들의 소비 여력이 줄었다. 코로나19가 절정을 지나면서 보복 소비에 따른 교체 수요가 바닥을 드러낸 점도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반도체와 원·달러 환율 상승이 실적 감소를 막아내면서 증권가에선 ‘그나마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하반기엔 경기 침체가 더욱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돼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세 분기 이어온 실적 신기록 브레이크

삼성전자의 올 2분기 잠정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7조원과 14조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20.9%와 11.4% 증가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세 분기 연속으로 이어진 역대 최대 매출 경신 흐름이 꺾였다는 점에 주목했다. 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 영업이익은 0.9% 줄었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 등으로 하반기를 비롯한 중장기 경기 전망이 어두운 탓에 쉽사리 실적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예상도 나온다.실제 삼성전자 제품 중에서 경기에 가장 민감한 가전제품과 스마트폰 실적의 감소 폭이 가장 컸다. 물가 상승으로 가계에 부담이 커진 소비자들이 TV·가전제품과 스마트폰 구매를 후순위로 미루고 있어서다. 증권가에선 2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이 6000만 대 수준으로 1분기의 7300만 대보다 1000만 대 이상 줄어든 것으로 추산했다. TV 출하량은 900만 대로 전 분기 대비 28% 감소한 것으로 관측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지난 2분기 TV·가전 부문 영업이익은 6000억원 수준으로 1분기 8000억원에서 25%가량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스마트폰과 네트워크 사업 부문에선 약 2조5000억원을 기록하면서 전 분기보다 1조2000억~1조3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예상됐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금리 인상, 유럽 전쟁 등으로 인한 경기 둔화에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했다.

○반도체·환차익으로 방어

삼성전자의 실적 악화를 막은 일등공신은 반도체였다.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스마트폰과 가전제품 등에 들어가는 반도체 판매는 줄었지만 여전히 수익성이 좋은 서버용 반도체 수요는 견조했기 때문이다. 특히 빅테크 기업들이 2분기에 클라우드 투자를 늘린 것도 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증권가는 삼성전자가 2분기에 반도체 부문에서 10조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했다.삼성전자가 대내외 악재 속에서도 2분기에 선방한 데는 환율 효과도 상당부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2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1260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2%, 전 분기 대비 5% 상승했다. 올해 1분기 평균 환율(1205원)이 작년 4분기(1183원20전)보다 1.8% 올랐을 때 삼성전자는 영업이익에서 환차익으로 3000억원을 거뒀다. 이를 고려하면 2분기 환율 상승으로 인한 환 효과는 8300억원가량으로 추정된다.

○하반기 세계 경기가 관건

하반기 세계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점은 삼성전자의 실적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2분기 후반부터 경기가 급속히 냉각된 측면이 있는데 아직 실적에는 반영되지 않은 것 같다”며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으로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업계에선 메모리 반도체 수요 감소가 하반기엔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격 하락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최근 3분기 D램 가격이 2분기보다 10%가량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당초 3분기 D램 가격이 2분기보다 3∼8%가량 하락할 것으로 내다본 데서 전망치를 더 낮춘 것이다. 다만 삼성전자가 최근에 내놓은 D램 신제품 DDR5가 전반적인 반도체 가격 하락을 방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삼성전자의 실적 컨센서스(전망치 평균)는 하향 조정되는 추세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매출 전망치는 지난달 말 326조7000억원에서 320조4000억원으로, 영업이익은 63조5000억원에서 58조9000억원으로 낮아졌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