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최측근의 변심?

여의도 와이파이

63명 '전대 룰' 비판 연판장 서명
'7인회 핵심' 김영진 의원 불참
일각 "친명계 결속력 느슨해져"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의원의 당대표 출마를 놓고 내홍을 겪는 가운데 김영진 의원이 침묵을 지키고 있어 이목을 끈다. 김 의원이 이 의원의 최측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 의원은 정성호 의원 등 친명(친이재명)계가 주도한 ‘비상대책위원회 전당대회 룰 결정 비판’ 연판장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해당 연판장에는 친명계를 비롯해 강경파 초선 모임인 ‘처럼회’ 소속 의원 등 63명이 서명했다. 역시 전당대회 룰과 관련해 지난 1일 친명계 대다수가 참여한 기자회견에도 김 의원은 나타나지 않았다.당내 일각에서는 “김 의원과 이 의원의 사이가 예전 같지 않은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김 의원은 이 의원의 중앙대 직속 후배로 측근 의원 그룹인 ‘7인회’에 속해 있다. 지난 대선 때는 당 사무총장과 선거대책위원회 총무본부장을 겸임하는 등 ‘살림꾼’ 역할을 맡았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당분간 중앙정치와 거리를 두고 지역구(경기 수원병)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 친명계 의원도 “이 의원과 김 의원의 관계가 악화됐다는 건 사실무근”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김 의원이 침묵을 지키는 건 몇몇 이슈에서 이 의원에게 한 ‘충언’이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관측이다. 김 의원은 당초 이 의원의 인천 계양을 보궐선거 출마를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원이 암묵적으로 동의한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반대 목소리를 냈다.처럼회 소속인 김용민·이수진(서울 동작을) 등 일부 강경파 의원이 ‘신(新)친명계’로 분류되는 상황을 김 의원이 불편해한다는 얘기도 있다. 차기 지도부가 강경파 일색으로 채워지면 향후 이 의원의 대권가도에 큰 짐이 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당내에서는 김 의원의 잠행을 두고 “친명계의 결속력이 과거 다른 계파와 달리 느슨하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라는 분석이 나온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