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부처 칸막이 없앤 '포괄적 연금통계' 개발 착수

한훈 통계청장이 7일 열린 '제1회 포괄적 연금통계 개발 정책부처 협의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국민연금·주택연금·개인연금 등 개개인이 받는 모든 연금을 연계하는 ‘포괄적 연금통계’가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각 부처가 따로 관리하던 연금 관련 통계를 통합해 국민 전체의 연금 가입과 수급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다.

통계청은 7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제1회 포괄적 연금통계 개발 정책부처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발표했다. 정책부처 협의회는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인사혁신처 등 연금 관련 11개 부처가 참여한다. 매 분기 정기회의를 열 예정이다.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포괄적 연금통계 개발 계획, 작성방법 및 추진일정 등을 논의했다. 복지정책의 수립과 평가를 위해 필요한 통계지표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통계청이 개발 중인 포괄적 연금통계는 통계등록부를 중심으로 기초연금, 국민연금, 직역연금, 주택연금 등 모든 공·사적 연금데이터를 연계해 국민 전체의 연금 가입 및 수급 현황과 그 사각지대를 파악할 수 있는 통계다.

그간 국민연금은 국민연금공단, 퇴직연금은 고용노동부, 기초연금은 복지부, 주택연금은 금융위원회, 개인연금은 국세청에서 자료를 관리하는 등 연금 종류에 따라 담당 부처가 제각각이었다. 이 때문에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상황에서도 노인 가구가 각종 연금을 합쳐 실제 얼마를 받고 있는지조차 파악이 되지 않아왔다.통계청은 포괄적 연금통계를 개발해 내년 10월 공표할 계획이다. 통계청은 연금통계의 정확성 및 활용성 제고를 위해 정책부처 협의회와 함께 데이터 품질 협의회와 전문가 자문단 등을 올해 하반기부터 상시 운영할 계획이다.

협의회에 참석한 한훈 통계청장(사진)은 “포괄적 연금통계를 통해 정부부처들이 국민의 노후생활을 종합적·입체적으로 파악하여 보다 촘촘하고 안정적인 복지정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통계청은 연금데이터를 안전하게 연계해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