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낙동강 하구에 국가도시공원 만든다

330만㎡ 규모…기본 설계 나서
탄소중립 도시로 기후변화 대응
‘생태계의 보고’ 낙동강 하구에 모인 철새.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낙동강 하구 일대에 330만㎡ 규모의 국가도시공원 건립 사업 추진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에 나선다. 공원 건립과 함께 탄소중립 도심을 조성해 기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낙동강 하류 일원을 전국 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하고, 강서구 대저동 맥도에 ‘탄소중립 그린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기본 구상 용역에 착수했다고 5일 밝혔다. 시는 국가도시공원 지정 용역 등 총 16억원가량을 들여 2024년 4월께 용역을 마무리 지을 방침이다.시는 세계적인 철새도래지이자 바닷물과 강물이 만나 형성된 기수 생태계의 보고인 낙동강 하구를 전국에서 최초로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하는 데 힘을 쏟을 계획이다. 국가도시공원은 국가적 기념사업 추진, 자연경관, 역사·문화유산 보전을 위해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정하는 공원이다.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면 관련 시설 설치와 관리에 드는 비용의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을숙도와 맥도생태공원, 에코델타시티 훼손지 복구 등 1080만㎡에 달하는 낙동강 하구 일원을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개발제한구역 내 창고와 공장 등이 난립한 맥도 일원 385만㎡ 부지에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혀 없는 ‘탄소중립 그린도시’를 조성해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비한다는 계획안도 수립된다. 대규모 공원을 기반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첨단 미래산업단지로 개발한다. 시는 자연환경 분야 전문가를 이번 용역의 책임 기술자로 지정해 △자연 △생태 △탄소중립 △시민 행복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용역을 추진한다.

이근희 부산시 녹색환경정책실장은 “국가도시공원 지정은 시민의 자산인 세계적 철새도래지 낙동강 하구 일대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기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민건태 기자 minkt@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