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지상국 교신 성공…1Mbps 속도로 데이터 전송

사진=연합뉴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목표 궤도에 올린 성능검증위성이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22일 새벽 3시 1분 교신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항우연은 누리호 발사 당일인 21일 남극 세종기지와 대전 항우연 지상국 안테나를 통해 성능검증위성의 기본상태 정보를 수신한 데 이어 양방향 교신까지 이뤄짐에 따라 누리호의 위성궤도투입 성능은 완전하게 확인됐다고 22일 밝혔다.22일 새벽 교신에서는 원격명령을 통해 위성 시각과 지상국 시각을 상호 동기화하고 성능검증위성에 탑재된 GPS 수신기를 활성화 했다. 향후 3축 자세제어(태양·지구·진행 방향을 각각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를 위해 필요한 궤도정보도 지상국에서 성능검증위성으로 전송했다.

항우연 연구진이 성능검증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상태에 대한 상세정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성능검증위성의 상태는 양호하며 모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향후 성능검증위성과 항우연 지상국 간 교신을 통해서는 성능검증위성이 발사 이후 자체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초기 데이터와 GPS 데이터는 고속 전송모드(1Mbps·0.125MB/s)로 내려 받을 계획이다.성능검증위성은 앞으로 7일 간 위성의 상태를 계속 점검하면서 자세를 안정화시키게 된다. 6월 29일부터는 2일 간격으로 국내 대학에서 개발한 큐브위성을 하나씩 사출할 예정이다.

성능검증위성에는 전용 카메라가 탑재돼 있어 큐브위성의 사출과정을 촬영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된 영상데이터는 추후 지상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성능검증위성은 앞으로 2년 동안 지구 태양동기궤도를 하루에 약 14.6바퀴 궤도운동을 하도록 설계돼 있으며, 향후 1달간 초기 운영 기간을 거친 이후 본격적인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성능검증위성에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발열전지, 제어모멘트자이로, S-Band 안테나가 탑재돼 있는데, 성능검증위성의 운용기간 동안 이러한 탑재체가 실제 우주환경에서 설계된 성능을 잘 발휘하는지에 대해 확인할 예정이다.

김진원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