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루나 사태 리스크, 금융시스템으로 전이 막을 것"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루나 사태로 인한 리스크가 금융시스템으로 전이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금융사 현장점검 등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13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이 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가상자산시장의 공정성회복과 투자자보호 당정간담회'에 참석해 "금융에서도 변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산업간 경계가 모호해지는 '빅블러'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금융자산과 가상자산(암호화폐)의 결합, 확산 등이 시도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이어 "대체불가토큰(NFT)과 탈중앙화금융(디파이) 등 신종 가상자산이 급성장하면서 금융시장에도 새로운 유형의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며 "시스템 안정과 소비자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루나 사태에 대한 안타까움도 드러냈다. 그는 "그간 투자자 보호를 위한 범정부적 대응에도 불구하고 최근 테라·루나 사태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금전적 피해를 입은 점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또한 금감원의 국제 공조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번 테라·루나 사태에서 알 수 있듯이 가상자산은 '초국격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며 "금감원은 국제적 정합성 제고를 위해 해외 감독당국과 국제기구 등과의 공조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아울러 가상자산 거래소의 자율 규제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중앙화된 거래소에서 이뤄지는 가상자산 거래는 대규모·비대면 거래로 인해 정보 비대칭, 불공정거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를 극복하고 가상자산 시장이 책임감 있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규제 체계의 마련도 중요하지만 가상자산 시장의 복잡성, 예측이 곤란한 환경 등을 고려할 때 시장 자율규제의 확립이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또 "금감원도 민간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가상자산 시장의 효율성을 높이고 투자자 피해가 예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부연했다.
이지영 블루밍비트 기자 jeeyoung@bloomingbit.io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