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이틀째 조합원 29% 참여…국토부 "물류피해 아직 안 커"

시멘트-레미콘 출하 중단…납품차량 운송거부로 현대차 울산공장 생산차질
경기도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에 화물차들이 멈춰 서 있다.(사진=연합뉴스)
민주노총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한 지 이틀째인 8일 전국 곳곳에서 운송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다만 국토교통부는 아직 물류피해는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8일 국토부에 따르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는 전날 파업 출정식을 연 뒤 지역별로 흩어져 이날 새벽까지 대기하다가 파업을 계속했다.국토부는 이날 화물연대 조합원(2만2000명)의 약 29% 수준인 6500여명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조합원의 40%인 약 9000명이 참여한 전날에 비해 11% 가량 감소한 것이다.

현재 전국의 12개 항만은 모두 출입구 봉쇄없이 정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컨테이너 기지와 공장 등의 출입구가 봉쇄된 곳도 없는 것으로 국토부는 파악하고 있다.항만별 컨테이너 장치율(항만의 컨테이너 보관능력 대비 실제 보관된 컨테이너 비율)은 69.4%로 평시(65.8%)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부산항과 인천항 등 주요 항만의 반출입량은 평시보다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전날에 이어 이날도 전국에서 크고 작은 충돌과 물류운송 차질이 빚어졌다.

국토부와 경찰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30분께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하이트진로 이천공장을 오가는 화물 차량을 막아서 조합원 15명이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현장에서 경찰에 검거됐다.이천공장에서는 조합원 20여명이 전날부터 철야 집회를 이어갔으며 밤사이 귀가했던 조합원들이 아침 일찍부터 합류하면서 공장 밖으로 나가는 출하 차량을 몸으로 막는 등 불법 집회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날 오전 8시 37분께는 부산 강서구 신항 삼거리 집회 현장을 지나던 트레일러 2대의 진행을 막아서며 물병과 계란을 던진 혐의로 화물연대 조합원 2명이 현행범으로 경찰에 체포됐다.

주요 물류 거점에서는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급감하면서 운송 차질이 본격화되고 있다.파업 첫날인 전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부산항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1만9000여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직전일(2만5000여TEU)보다 대폭 감소했다.

평택항의 하루 평균 반출입량도 평시의 2.2%에 불과한 68TEU까지 줄었고 의왕ICD의 전날 반출입량은 평시의 14.4% 수준인 631TEU에 그쳤다.

산업 현장의 피해도 속속 보고되고 있다.

시멘트 업계에 따르면 화물연대가 전날 시멘트 생산공장 정문과 후문을 사실상 봉쇄했던 단양, 제천, 영월, 옥계(강릉) 등 지역의 시멘트 공장은 시멘트를 실어나르는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차량 출입이 전면 통제되고 있다.

시멘트협회는 전날 시멘트 출하량이 1만5500톤(t)으로 평소(일 18만t) 대비 10% 이하로 감소한 가운데 시멘트 업계 하루 매출 손실액이 153억원(t당 9만3000원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을 오가는 화물연대 소속 납품 차량이 이날 오후 2시부터 운송 거부에 들어가면서 울산공장은 오후 4시께부터 일부 생산라인이 가다 서기를 반복하고 있다.

정부는 화물연대의 정당한 집회 등은 보장하겠지만 정상 운행차량의 운송을 방해하는 등 행위에 대해서는 경찰과 협조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화물연대는 이번 파업에서 2020년부터 시행에 들어간 안전운임제 폐지 철회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화물 기사들의 적정임금을 보장해 과로·과적·과속을 방지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된 제도로 3년 일몰제여서 올해 말 폐지될 예정이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