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2030 그린 비전'…수소·배터리 소재 10조 투자

에틸렌 등 기초소재 의존 벗고
신사업에서 年 12조 매출 목표
상반기 미국에 배터리 법인 설립
김교현 롯데케미칼 총괄부회장(가운데)과 황진구 기초소재사업 대표(왼쪽), 이영준 첨단소재사업 대표. 롯데케미칼 제공
롯데케미칼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낙점한 수소와 배터리 소재사업에 2030년까지 10조원을 투자한다. 과감한 투자를 통해 에틸렌과 프로필렌 등 기초 석유화학 사업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포석이다.

롯데케미칼은 19일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김교현 롯데그룹 화학그룹군 총괄부회장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30 비전·성장전략’을 발표했다. 2030년 매출을 작년(18조1204억원)보다 세 배가량 많은 50조원대로 키우겠다는 게 핵심이다.이를 위해 김 부회장은 △범용(기초) 석유화학 △스페셜티(고부가가치) 소재 △수소, 배터리 소재, 바이오플라스틱 등 주력 사업을 집중적으로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범용 석유화학 사업은 매출을 지난해 11조원에서 20조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의 주력 제품은 ‘석유화학의 쌀’로 불리는 에틸렌과 프로필렌 등 기초 소재다. 에틸렌 생산량 기준으로 국내 1위를 달리고 있다. 스페셜티 사업은 연 7조원에서 18조원으로 키울 계획이다. 전체 매출의 70%를 기초소재에 의존하는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특수소재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수소, 배터리 소재, 바이오플라스틱 등의 신사업에선 2030년까지 연 12조원의 매출을 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소 산업에 2030년까지 6조원을 투자해 120만t 규모의 청정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배터리 소재엔 4조원을 투자한다. 올 상반기 미국 배터리 소재 사업을 총괄하는 현지법인을 설립해 미국 사업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롯데케미칼은 배터리 소재 사업 투자금 중 60%가량을 미국 사업에 투입할 계획이다.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롯데케미칼은 내년까지 국내 석유화학사 최초로 RE100 가입을 추진한다. RE100은 제품 생산에 필요한 전기를 100%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겠다는 국제사회 캠페인이다.

김 부회장은 “코로나19와 탄소중립을 계기로 화학사들에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며 “기존 사업 역량을 동력으로 삼아 지속 가능한 발전과 친환경 가치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