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공공병원' 설립…감염병 재난 대비한다

서울시, 6000억 들여 의료 확충
서울시가 2026년까지 6120억원을 투입해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의료 서비스를 확대한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할 ‘서울형 공공병원(가칭)’ 등 시립 병원 세 곳을 추가 설립하는 게 핵심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의료 확충 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우선 서초구 원지동에 4000억원을 들여 서울형 공공병원을 세운다. 600병상 규모로 2026년 개원을 목표로 세웠다. 평상시에는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코로나19 등 국가 전염병이 돌면 감염 대응 거점으로 기능이 바뀐다. 비상시 지하주차장 등 유휴 공간에 임시 병상 100개를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병원 내에는 민간 의료자원과 인력을 공유하는 서울위기대응의료센터(EOC)도 설치돼 민간 부문과의 시너지를 키울 방침이다.또 950억원을 투자해 은평구 진관동에 장애환자의 재활치료를 돕는 공공재활병원을 짓는다. 서울시 최초의 재활 전문 시립병원이다. 200병상 규모로 서울형 공공병원과 함께 2026년 문을 연다. 강서구에는 2024년까지 ‘제2장애인치과병원’이 들어설 예정이다.

기존 시립병원들은 병원별 특성을 살려 의료 지원 기능을 특화해 나가기로 했다. 보라매병원에 안심호흡기전문센터를 조성해 음압병상 72개를 추가로 확보한다. 서남병원은 425억원을 들여 음압병상 5개를 추가하고 수술실·심혈관센터·신경외과 등을 확대·신설한다. 은평병원은 정신질환자를 위한 외래중심 병원으로 전환한다.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 치매예방센터, 자살예방센터 등 정신건강 기관을 하나로 이전·통합해 ‘서울형 통합정신건강센터’로 운영할 예정이다.

장강호 기자 callm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