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온실가스 배출에 의미있는 성과"…인수위 주장에 반박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우리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과 미세먼지 저감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14일 SNS 메시지를 통해 "우리나라는 2018년 온실가스 배출 정점을 찍었고, 석탄발전소 가동중단 등 정부의 감축 노력에 의해 이후 큰 폭으로 감소전환 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2021년 경기의 반등에 따라 다시 조금 높아졌지만, 전 세계 평균 4.9% 증가에 대비하여 우리나라는 4.2% 상승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감소추세가 유지되고 있다"며 "미세먼지는 2015년 47㎍/㎥에서 2021년 36㎍/㎥으로 줄었고, 초미세먼지 역시 2015년 농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최저치(18㎍/㎥)를 기록하는 등 크게 줄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2030년의 NDC 목표는 분명 어려운 길이지만, 우리는 해낼 수 있고 반드시 해내야 하는 목표"라며 "사실과 다른 주장이 횡행하고 있어 환경부 장관이 국민들께 직접 알리고자 페북글을 올렸고, 저도 공유한다"고 했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지난 11일 SNS에서 "문재인 정부는 국제사회의 공동목표가 된 '탄소중립'이라는 비전을 세우고 경제ㆍ사회구조의 탈탄소 전환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확보에 주력하였다"며 "우리나라는 2018년 탄소배출의 정점을 기록하였고 이후 탄소배출량은 감소추세에 있다"고 했다.

앞서 인수위는 지난 12일 문재인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을 대대적으로 수정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온실가스 배출이 문재인 정부 목표에 역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원전은 감소했지만 석탄발전이 소폭 증가하고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은 16% 급증한 영향 때문에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 대비 4.16%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는 것이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