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대전환…2주 뒤엔 밖에서 마스크 벗는다

정부, 거리두기 완화…
사적모임 10명·밤 12시까지 영업

"17일까지 확진 감소땐
최소 수칙 남기고 모두 해제 검토"
< 벚꽃 만개한 진해…군항제는 3년째 취소 > 1일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역공원을 찾은 관광객들이 활짝 핀 벚꽃을 즐기고 있다. 국내 최대 봄꽃 축제인 창원 진해군항제는 코로나19 탓에 3년 연속 취소됐지만 올해는 꽃이 핀 공원 등에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다. 서울에서도 여의도 여의서로, 잠실 석촌호수 등 대표적인 벚꽃 명소들이 곧 개방된다. 서울의 벚꽃은 2일께 피기 시작해 오는 8일께 절정에 이를 전망이다. /연합뉴스
정부가 2주 뒤에는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는 등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가는 전면적인 방역 전환 가능성을 내비쳤다. 사적 모임 10명, 식당·카페 영업 밤 12시까지 연장 등 오는 4일부터 시행하는 완화한 거리두기에도 코로나19 감소세가 이어진다는 전제에서다. 2주간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를 줄여나가면서 의료체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게 관건으로 꼽힌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1일 코로나19 대응 정례 브리핑에서 “새 거리두기 조치가 적용되는 2주간 코로나19 유행이 안정적으로 감소하면 이후 전면 조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최종적으로는 실내 마스크 착용을 제외하고 영업시간과 사적 모임, 대규모 행사 등 모든 방역규제를 해제하고 일상에 가까운 체계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오미크론 정점이 지나간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일상 회복에 속도를 내겠다는 것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도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런 조치들이 조기에 안착돼 대부분 확진자가 동네 병·의원에서 대면진료를 받는 단계가 되면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으로 전환하는 세계 첫 번째 국가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해본다”고 말했다. 2020년 5월 시작돼 2년 가까이 이어진 사회적 거리두기의 폐지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4일부터 사적 모임 인원을 기존 8명에서 10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은 현행 오후 11시에서 12시까지로 한 시간 연장한다. 아직 유행 확산 요인이 남아 있어 완전 해제가 아니라 소폭 조정안으로 결정했다는 게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야외서 마스크 벗어도 '7일 자가격리'는 유지
위중증·사망자 증가 우려 여전…"병원 간 병상 시스템 공유해야"

정부가 이달 중순께 거리두기 조치를 사실상 폐지한다면 지난해 11월 이후 약 반년 만에 다시 일상 회복을 시도하는 셈이다. 이 경우 방역 조치는 최후의 보루로 여겨지는 실내 마스크 착용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라진다. 다만 2주 뒤 거리두기 조치가 해제되더라도 확진자의 7일 자가격리 의무와 기간은 유지된다.방역당국이 1일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은 최근 오미크론 유행이 11주 만에 정점을 지나며 완만한 감소세로 전환했다는 판단 때문이다. 또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 폐지를 공개적으로 요청하고 나선 데다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요구가 거센 상황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31일 신규 확진자는 28만273명으로 전날보다 4만470명 줄면서 지난달 28일 이후 나흘 만에 30만 명 밑으로 떨어졌다. 1주일 전보다는 5만9201명 적고 2주 전보다는 12만6604명 줄었다.

신규 사망자는 360명으로 직전일보다 15명 줄었다. 최근 1주일간 사망자는 하루 평균 328명이다. 이날 집계된 위중증 환자는 1299명으로 전날보다 16명 줄었다. 지난달 27일부터 위중증 환자 수는 엿새 연속 1200~130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정부는 거리두기 완화 조치가 전반적인 유행 감소세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코로나19 대응 정례브리핑에서 “질병관리청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공동 분석에 따르면 거리두기를 완화하더라도 확진자 수는 10~20% 정도 증가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어렵게 시작되는 일상 회복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급증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의료체계를 정비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이재갑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병원 간 환자 및 병상 등을 상호 전산화해 공유하고 자동 배정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등 의료 대응을 더 세심하게 다듬어야 고위험군 사망을 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확진자도 독감 환자처럼 모든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을 수 있게끔 외래진료센터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국 코로나19 외래센터는 487곳으로 하루 만에 107곳 늘었다. 오는 4일부터 동네 의원도 외래진료센터 지정을 신청할 수 있게 돼 센터 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경구용 치료제의 충분한 확보와 신속한 처방도 필수 과제로 꼽힌다. 팍스로비드는 이날까지 총 15만321명분, 라게브리오는 2110명분이 사용됐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