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코노미 요즘것들의 주식투자] 한 회사의 주식을 소유한 사람들을 '주주'라 하죠, 주주들이 모여 중요한 일 결정하는 건 '주총'이죠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21) 주주총회
주주가 됐다는 것은 기업의 주인이 됐다는 의미입니다. 회사가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서 의결권을 보유하게 되는 것이죠. 상법상 상장사들은 1년에 한 번,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여러 안건을 결의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대부분 기업은 3월 말에 주주총회를 엽니다. 어떤 안건들이 다뤄지는 총회에 어떻게 참석할 수 있을까요?

주주총회 왜 열지?

주주는 회사의 주인입니다. 어떤 일을 결정하려면 지분을 갖고 있는 모든 주주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하기에 주주총회를 개최합니다. 사전에는 “주식회사 및 주식 합자 회사의 주주들이 모여 회사에 대한 의사를 결정하는 최고 기관으로 각 주주는 하나의 주식에 대하여 하나의 의결권을 지닌다”고 나와 있습니다.주주총회는 매년 1회 이상 일정한 시기를 정해 소집하는 정기 주주총회와 수시로 소집할 수 있는 임시 주주총회로 나뉩니다. 상법상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의 승인과 이익배당 결정은 정기 주주총회에서 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상장사는 12월 결산법인(회사의 1년 영업주기를 1~12월로 보는 것)이 대부분인데 배당을 주려면 배당기준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배당을 위한 주총을 개최해야 합니다. 그래서 3월에 주주총회가 많이 몰립니다.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2016~2020년 5년 동안 상장회사의 85.5%가 3월 21~31일 사이에 정기 주총을 열었습니다.

주주총회 관전 포인트

상법상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의 승인과 이익배당 결정은 정기 주총에서 결정해야 합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어떤 회사의 주총에 참석하시든지 1호 안건은 ‘재무제표 승인’일 겁니다. 매출, 영업이익 등 실적을 정리한 재무제표를 공개하고 승인을 받는 절차죠. 배당을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줄 것인지도 정기 주총에서 결정됩니다.

사내이사와 사외이사, 감사위원은 누구로 정할지도 정기 주총에서 정합니다. 현대자동차는 이번 주총에 정의선 회장을 사내이사로 재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했습니다. 정 회장이 3년 임기 마감을 앞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기 주총에서 우리 회사에 어떤 뉴페이스가 등장하는지도 봐두면 좋습니다. 회사의 방향을 바꿀 인물이 나타날 수 있는 거니까요. 카카오의 경우에는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새로운 대표가 선임된다고 합니다.주주총회에서 결정된 내용은 사업보고서에 반영합니다. “우리 회사가 지난 1년 동안 이렇게 일했고 이만큼의 돈을 벌었습니다”라는 내용이 담긴 보고서죠. 마감일이 3월 31일이기 때문에 그즈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들어가보시면 거의 모든 상장사들이 제출한 사업보고서를 읽을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임직원 현황과 임원의 보수 파트를 재밌게 보는데요. 어떤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얼만큼의 돈을 받고 얼마나 열심히 일했는지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에는 ‘사장보다 돈 더 많이 번 임직원’, ‘오너 연봉킹’ 등 흥미로운 기사도 많이 나와요.

최근에는 주주제안이 많아졌습니다. 주주제안이란 일반 주주들이 주주총회에 의안을 직접 제시하는 것입니다. 주주총회 6주 전까지 요구사항을 회사에 제출하면 주총에서 해당 의제를 다루게 됩니다. 의결권이 있는 지분 1% 이상을 6개월 이상 보유하면 됩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주주제안을 통해 상정된 안건 수는 2018년 89건에서 2021년 107건으로 늘었다고 합니다. 이사 선임 및 해임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고 배당을 늘려달라거나 더 자주 지급하라는 요구도 많았습니다.

어떻게 참여하지?

2021년 12월 31일 기준으로 해당 회사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라면 3월에 열리는 주총에 참석할 수 있습니다. 연초에 주식을 팔았더라도 참석 자격이 주어지는 것이죠.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방문하는 것입니다. DART에서 ‘주주총회 소집결의’ 공시를 보거나 회사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주주총회 개최 일정 및 장소, 안건이 나와 있습니다. 신분증과 주주총회 참석장을 들고 가시면 됩니다.

현장 참석이 곤란하다면 온라인 중계를 활용해도 됩니다. 코로나19로 많은 기업들이 온라인 중계를 도입했거든요. 직접 가지 않고 전자투표를 통해 의사를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한경제 한국경제신문 기자

NIE 포인트

1. 주식회사에서 주식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2. 주주총회가 몰리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

3. 내게 주주제안권이 있다면어떤 요구를 하는 게 좋을까?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