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국 센터장 "지식재산권·암호화폐 시장 급속 성장…제2 네이버·카카오도 이 분야서 나올 것"

비상장사에 2조 대규모 투자
전병국 하나금융 클럽원 센터장

지난해 59곳 5900억원 베팅
수익률 260%…모두 수익 내

크래프톤 구주매각 딜 통해
1년 여만에 400% 수익 거둬
지난 14일 서울 삼성동 하나금융 클럽원PB센터를 들어가자 전병국 클럽원 센터장(사진)이 ‘리그오브킹덤즈(LOKA)’를 하고 있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다중접속온라인(MMO) 게임이다. 옆 직원은 가상현실(VR) 기기를 착용한 채 두 팔을 허우적댔다. 클럽원은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초고액 자산가(VVIP)만 가입할 수 있는 PB센터다.

전 센터장은 “지난해 이 게임을 만든 회사를 탐방하고 와서 플레이투언(P2E·게임하면서 돈벌기)을 경험하고 싶어 직원들과 연맹을 만들었다”며 “여기가 제 왕국인데 오늘 NFT(대체불가능토큰)로 1000만원어치 땅을 질렀다(샀다)”고 했다. 직접 경험해보고 투자를 결정하는 것이 그의 원칙이다.전 센터장이 이끄는 클럽원은 2017년 출범 이후 비상장사에 2조원을 투자했다. 지난해 59곳에 투자한 금액은 5900억여원. 국내 웬만한 벤처캐피털(VC)과 사모펀드(PE)를 뛰어넘는다. 이 중 26곳을 엑시트(자금회수)했는데, 손실을 낸 딜은 한 건도 없었다. 수익률은 260%였다.

▷비상장사 투자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비결이 무엇인가.

“첫 번째는 정보, 두 번째는 네트워크, 세 번째는 바게닝 파워(교섭력)다. 하루에 보통 4개 딜을 살펴본다. 1주일이면 20개, 1년이면 1000개 이상의 딜을 분석하는 셈이다. 최고경영자(CEO)를 만나고, 본사를 방문하고, VC와 미팅도 한다. 검토한 1000여 개 딜 중 작년에 투자로 성사된 것이 57개니까 채택률이 6% 정도다. 채택되지 않은 나머지 94%도 계속 지켜보면서 업데이트한다. 비상장 투자를 한 6년간 5000~6000개 회사를 들여다봤다. 결국은 양이 질을 만든다.”▷작년 가장 높은 수익을 낸 딜은.

“엑시트 모델인 △상장 △인수합병(M&A) △구주매각 중 성공 확률이 가장 높은 것은 상장이다. 작년 8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크래프톤이 그렇게 수익을 냈다. 2020년 5월 170억원을 투자해 1년여 만에 400% 이상을 벌었다.”

▷처음엔 선뜻 투자금을 모으기 쉽지 않았을 것 같다.“2015년엔 다들 비상장사는 리스크가 높다고 투자를 꺼렸다. 데스밸리(외부 자금을 유치하지 못해 시행착오를 겪는 상황)도 있었다. 20년 이상 브로커리지(주식위탁매매)를 하면서 깨달은 점은 주식은 개인투자자들이 질 수밖에 없는 게임이라는 거다. 2018년 공모주펀드는 1600개 중 12개만 수익률이 플러스였지만, 사모펀드는 1800여 개 중 81%가 수익을 냈다. 비상장 투자의 역설은 가장 안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리스크가 높은 초기 단계 기업부터 상장이 임박한 프리 IPO(상장 전 투자유치) 단계 기업까지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쌓아가는 ‘신생-발전-완성 피라미드’라는 단계적 투자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개인투자자들이 직접 비상장기업에 투자하는 건 어떤가.

“잘못되면 상장사 주식은 하한가에 팔 수 있지만 비상장사 주식은 휴지 조각이 된다. 비상장사 1~2곳에 투자해 승부를 보려면 아예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일부 성공 사례만 좇으며 대박을 꿈꾸다간 필패한다. 우리도 30여 명이 달라붙어 꼼꼼하게 살피며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버틴다. 2조원의 바게닝파워도 있다.”▷올해 투자 시장은.

“작지만 강한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느냐에 달렸다. 카카오와 네이버에서 시작해 쿠팡 마켓컬리 무신사 토스 등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스타트업)이 나오고 있다. 비전펀드를 포함해 세쿼이아 등 세계적인 펀드들이 국내 벤처기업에 투자하고 있는 것도 좋은 현상이다.”

▷유망 투자처는.

“올해 투자 방향은 △의식주 영역의 버티컬 커머스 △지식재산권(IP) △크립토파이낸스(암호화폐금융) 등 세 가지로 잡고 있다. 버티컬 커머스의 사례는 직방이 대표적이다. 가상 오피스인 ‘메타폴리스’도 운영하고 있다.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한국의 왓차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이 많아지면서 IP 비즈니스가 급부상 중이다. 디지털화 비율이 미국은 10%, 일본은 20%밖에 안 된다. 대개 웹툰이 배경이어서 이쪽을 들여다보고 있다. 크립토파이낸스는 메타버스 시대가 오고 탈중앙화된 시장(디센트럴랜드)가 보편화됐을 때를 대비한 투자다. 이때 거래할 화폐가 있어야 한다. 근간은 NFT(대체불가능토큰)다.”

▷암호화폐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건가.“코인에 투자하라는 얘기가 아니다. 가상자산 거래소와 코인은 크립토파이낸스에서 가장 작은 시장이다. 코인을 보관하는 개인 지갑이 있다면 금융행위를 해야 하는 여신과 수신,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담보대출이 필요하다. 지난해 캐나다와 미국에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가 상장됐는데, 암호화폐를 활용한 금융상품이 출시되면서 관련된 상품을 거래하는 자산운용시장도 확대될 거다. 굉장히 빠르고 급진적으로 올 건데, 크립토파이낸스를 선점하느냐에 따라 극명하게 성패가 갈릴 것이고 완전히 다른 세계가 올 것이다. 세쿼이아가 투자한 NFT의 가치평가 모델을 만든 NFT뱅크가 대표적이다. 앞으로 제2의 네이버와 카카오가 크립토파이낸스 분야에서 반드시 나올 거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