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 3% 안팎으로 대폭 상향할 듯

원자재 급등·우크라 사태 반영
24일 '경제전망보고서' 발표
한국은행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3% 안팎으로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원자재 공급 차질이 불거진 데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심각해지는 것을 반영할 것으로 전해졌다.

13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은은 이달 24일 발표하는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종전 2.0%에서 2.9~3.1%로 대폭 올릴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이 같은 전망은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2.5%)보다 0.4~0.6%포인트 높은 것은 물론 연간 기준으로 2011년(4.0%) 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은의 물가 전망은 국내외 기관 가운데 신뢰도가 가장 높은 것은 물론 가계·기업의 기대인플레이션에도 상당한 영향을 준다.한은은 이날 발표한 ‘물가 상승 압력 확산 동향 평가’ 보고서에서 “물가가 2% 이상 오른 품목의 수는 올해 1월 239개로 작년 1월(132개)보다 큰 폭으로 불었다”며 “물가 오름세가 이어져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 재차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지난달 14일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물가 상승률은 작년(2.5%) 수준을 웃돌아 2%대 중후반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이 총재 발언 당시에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최근처럼 심각하지 않았다”며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수준에 근접한 현 상황을 고려하면 올해 물가 상승률은 3%대를 넘어설 것”이라고 평가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이 더 심각해지면 물가 오름세가 이어지고, 경제 성장률은 더 내려갈 수 있다.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수입액이 불어나고, 그만큼 무역수지와 성장률을 갉아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올해 연평균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기록하면 성장률은 0.3%포인트 하락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포인트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국채금리도 뛰고 있다. 지난 11일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채금리는 0.079%포인트 오른 연 2.343%에 마감했다. 2014년 9월 23일(연 2.350%) 후 7년 반 만의 최고치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