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경상흑자 883억달러 '역대 3위'

상품수지 부진…전망치 밑돌아
배당수입은 97억달러 '역대 최대'
한국은행은 지난해 연간 경상수지 흑자가 883억달러로 집계됐다고 10일 발표했다. 2020년(759억달러)보다 16.3%(124억달러) 늘어난 규모다. 지난해 경상흑자는 2015년(1051억2000만달러)과 2016년(979억2000만달러)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컸다.

하지만 한은의 경상수지 전망치(920억달러)에는 밑돌았다. 상품 수출입 차이인 상품수지가 다소 부진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상품수지는 762억1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해 2020년에 비해 44억달러 줄었다. 수출(6500억1000만달러)이 25.5% 늘었지만 원자재 가격이 치솟으면서 수입(5738억1000만달러) 증가율(31.2%)이 수출을 웃돌았기 때문이다.서비스수지는 31억1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해 전년보다 적자 폭이 115억6000만달러 줄었다. 서비스수지를 구성하는 운송수지 흑자 폭이 154억3000만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한 영향이다. 전년(11억달러)과 비교해서는 14배 이상 증가했다. 운송 물량이 폭증한 데다 운임도 큰 폭 오른 결과다.

배당소득 수입이 크게 불어난 것도 경상수지 흑자에 상당한 보탬이 됐다. 지난해 배당수지(배당수입-배당지출)는 97억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배당수입도 사상 최대인 324억1000만달러를 거뒀다. 한국 기업들이 해외 법인으로부터 받는 배당금인 ‘직접투자배당수입’은 지난해 232억2900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삼성전자의 해외법인 배당수입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학개미와 기관이 보유한 해외주식 배당수입을 나타내는 ‘증권투자배당수입’도 91억8300만달러로 역시 최대치였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