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확진자, 대선 때 현장투표 검토"

"재택치료 내달 초 100만명 예상
참정권 보장 적정한 방법 고려"
사진=연합뉴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사진)은 다음달 9일 열리는 대통령 선거에서 코로나19 확진자의 현장 투표를 검토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다음달 초 코로나19 재택 치료 환자 수가 100만 명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정 청장은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재도 확진자가 재택치료 중에 자차 이동으로 외래 진료를 받을 수 있기에 현장 투표가 불가능하지는 않다”는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적에 “맞다”고 동의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의사 출신인 신 의원이 “마스크를 제대로 쓰고 하는 현장 투표도 고려하느냐”고 묻자 정 청장은 “그 부분까지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전염력을 최소화하면서 참정권을 지킬 수 있는 대안들의 기술적인 검토를 하는 상황”이라며 “가능한 한 위험도는 줄이고 참정권은 넓히는 가장 적정한 방법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정 청장은 위중증 환자에 대해서는 “질병청 추계에 따르면 1500∼2500명 정도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현재 확보한 위중증 병상은 감당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재택 치료자는 다음달 초 100만 명에 도달할 것이란 게 정 청장의 예상이다. 정 청장은 “(확진자 수가) 3주 연속 두 배씩 더블링이 되고 있기에 지금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단계”라며 “증가 속도나 규모가 언제 조정될지는 1~2주 정도 봐야 할 것 같다”고 진단했다. 이어 “위중증 사망자는 감소 추세에 있고 안정된 상황”이라면서도 “이번주 들어 60대 이상 고령층 확진자가 늘고 있어 예의주시할 필요는 있다”고 전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재택치료를 받는 코로나19 확진자 등의 대선 투표 방법 등에 대해 오는 15일 선거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거쳐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지난 총선 때도 이 같은 경험이 있었는데 사전투표나 거소투표, 투표장에서 시간을 달리하는 방법이 있었다”며 “이 같은 방법들을 다 고려하면 우려하는 상황까진 가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