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매시장 찬바람 불지만…'똘똘한 한채' 강남 3구는 꿋꿋

지난달 강남 낙찰가율 반등
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11개월 만에 최저인 103.1%를 기록했다. 대출 규제 등 여파로 주택 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경매시장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는 ‘똘똘한 한 채’를 찾는 수요가 몰리면서 110%가 넘는 낙찰가율을 유지했다.

7일 법원경매 전문 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103.1%로 전달(103.3%)보다 0.2%포인트 내렸다. 작년 2월(99.9%) 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작년 10월 기록한 역대 최고치(119.9%)에 비해선 16.8%포인트 떨어졌다.

서울 대다수 자치구는 낙찰가율이 100%대 초반까지 떨어졌지만 강남 3구 낙찰가율은 113.3%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달(112.5%)과 비교해도 0.8%포인트 올랐다.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이 역대 최대 호황이었던 작년 10월과 비교하면 강남 3구 낙찰가율도 하락세지만, 다른 자치구들보단 선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작년 12월 2명까지 떨어졌던 강남 3구의 평균 응찰자 수도 지난달 8명으로 늘었다. 이주현 지지옥션 책임연구원은 “강남에 ‘똘똘한 한 채’를 보유하려는 수요가 몰린 결과”라며 “최근 가격 조정을 매수 기회로 여기는 현금 부자가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감정가가 18억3000만원이던 서울 송파구 방이동 ‘대림가락(방이대림)’ 전용면적 153㎡(4층)는 지난달 23억1779만9000원에 낙찰됐다. 5억원 정도 웃돈이 붙은 셈이다. 강남권 경매 물건은 ‘대출 금지선’인 15억원을 넘는 고가 아파트가 대부분이어서 주로 현금 부자들이 경매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경매시장 열기가 다소 식었지만, 원래 대출이 어려웠던 고가 아파트는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매업계 관계자는 “경매는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의무가 없고 토지거래허가제도 적용받지 않아 부유층의 주택 매수 수단으로 여전히 각광받고 있다”고 했다.

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