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교수 "집값 꼭대기에 있어…무주택자 집 사면 안돼"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노원·도봉·성동구 등 최대 17% 하락할 것"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인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 들어 과열된 부동산 시장이 최근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내년 집값 하락' 전망을 내놓고 있는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를 이미 변곡점이 왔다는 신호라고 밝히고 있다.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무주택자는 집을 사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김 교수는 28일 출연한 'KBS 더 라이브'에서 집값이 변곡점의 꼭대기에 있다고 봤다. 그는 "내년 말까지 기준금리가 1.5%까지 오르면 서울 전반에 걸쳐 집값이 올해 6월 대비 최대 17% 떨어지고, 기준금리가 2% 오르면 지난 6월 대비 최대 20%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집값이 2020년 수준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것이다.집값이 최대 17% 하락할 지역으로는 노원·도봉·성동구 등을 꼽았다. 중저가 주택이 많아 주로 서민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김 교수는 "이들 지역은 주택담보대출에 신용 대출까지 끼고 주택을 구매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해 더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의 경우 올해 6월 대비 집값이 최대 13%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 집값이 폭등한 원인으로는 저금리에 따른 풍부한 유동성과 임대차 3법(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전월세신고제)을 지목했다. 그는 특히 임대차 3법이 전셋값과 매매가격을 동시에 밀어 올렸다고 지적했다.

당분간은 가격 하락을 예고하면서 김 교수는 집을 사는 것을 보류하라고 당부했다. 김 교수는 "무주택자는 절대 집을 사서는 안 되고 1주택자는 기다려야 한다"며 "다주택자 역시 양도세가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정책적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집을 언제 사야 하냐는 질문이 나오자 "미국이 2024년까지 기준금리를 2%까지 올린다고 하면 우리나라는 2.5∼3%까지 올릴 거다. 기준금리가 어느 정도 선까지 오르고 정체되느냐가 중요한데 그 시기가 대략 2024년 정도는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