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봉쇄로 삼성 시안공장 생산 줄여…메모리 공급사 주가에는 긍정적 영향"

증권업계 분석

마이크론도 "공급 지연"
웨스턴디지털 등 주가 상승

2019년 도시바 정전때도
관련업체 시가총액 급증
삼성전자가 코로나19 확산으로 봉쇄령이 내려진 중국 시안 낸드플래시 반도체 공장의 가동률을 낮춘 게 메모리 회사 주가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예상치 못한 변수로 공급이 제한되면서 메모리 가격 하락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29일 시안 낸드 생산라인을 탄력적으로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이 발표에 2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선 낸드 경쟁사인 웨스턴디지털과 마이크론 주가가 각각 5.24%, 3.48% 상승했다.

마이크론도 30일 이번 봉쇄 조치로 D램 공급이 지연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마이크론은 이 지역에 D램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및 테스트) 공장을 두고 있다. 이날 국내 증시에서 SK하이닉스 주가는 3.15% 올랐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 시안 공장은 세계 낸드 생산량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다. 이세철 씨티글로벌마켓증권 연구위원은 “이번 감산이 글로벌 메모리 공급 제한으로 이어지고, 내년 메모리 평균 판매가격(ASP) 상승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씨티증권은 내년 메모리 가격 추정치도 상향 조정했다. 당초 내년 1분기 낸드 가격이 전 분기 대비 10%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이 하락폭이 6%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수정했다. 2분기 낸드 가격은 전 분기 대비 3% 하락, 3분기 보합, 4분기 3% 상승을 전망했다. D램 가격 턴어라운드 시점도 내년 2분기로 빨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D램의 경우 1분기 5% 하락하다가 2분기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1% 상승, 3분기 7%, 4분기 9%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가동률을 낮춘 당사자인 삼성전자로선 중립적일 수 있지만, 낸드 업황에 대한 우려가 컸던 상황에서 감산 효과로 가격의 낙폭이 줄어드는 것이 업계 전반적으로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가동률 조정이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데다 가격 하락 사이클을 막는 게 더 의미가 있다는 진단이다.

이번 시안 봉쇄가 2019년 6월을 떠올리게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시 낸드 시장 2위였던 도시바메모리(현 키옥시아) 일본 욧카이치 공장에서 정전 사고가 발생하면서 공장 가동이 중단된 바 있다. 김경민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미·중 무역분쟁으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공급 과잉 상태이던 낸드산업은 정전 이후 과잉 재고가 정리되는 수혜를 봤다”고 설명했다.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수요 대비 공급을 의미하는 공급과잉률이 2019년 2분기 1.6%였는데, 2019년 3분기 -8.5% 수준으로 내려가며 공급 부족 상태로 바뀌었다.

당시 웨스턴디지털 마이크론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의 시가총액은 정전 직후부터 의미있게 늘어나기 시작했다. 당시 SK하이닉스 주가는 2019년 6월 17일 저점(6만2400원)을 찍은 뒤 지난해 2월 17일(10만6000원)까지 70% 뛰었다. 다만 정전이 발생한 키옥시아는 상장사가 아니어서 사고로 인한 기업 가치 변화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