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세포로 단백질 대량 생산 가성비 좋은 항암제 개발할 것"

모상현 바이오에프디엔씨 대표

"동물세포보다 안전성도 뛰어나
상용화 성공땐 세계 첫 사례"
화장품·건강기능식품 원료 사업을 해온 바이오에프디엔씨가 식물세포를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나선다. 식물세포를 배양해 만든 바이오의약품이 상용화된 사례는 아직 없다.

모상현 바이오에프디엔씨 대표(사진)는 30일 “원하는 단백질이 나오도록 식물세포를 설계하는 기술과 이 세포를 대량 생산하는 기술 모두를 확보했다”며 “위암 치료제 등 바이오의약품 후보물질(파이프라인)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항체치료제와 같은 대부분의 바이오의약품을 구성하는 건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데는 햄스터의 난소에서 얻어낸 세포인 초셀이 주로 쓰인다. 약물로 쓰이는 단백질을 생산하도록 개량한 초셀을 혈청과 성장인자를 이용해 배양하면 이 단백질을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의해 단백질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식물세포는 인수 공통 감염병 우려가 없다. 세포 먹이로 설탕을 쓰다 보니 배양 비용도 초셀 대비 10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다만 식물세포는 동물세포의 단백질 생산량을 따라가기가 쉽지 않은 게 단점이었다.

바이오에프디엔씨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유전자를 편집한 식물세포에서 어떤 단백질이 생성되는지를 알 수 있는 설계 기술을 갖고 있다. 모 대표는 “고주파로 식물세포를 자극해 원하는 단백질의 생산량을 늘리는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며 “한두 달이면 세포 배양으로 원하는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 기술로 위암 치료제도 개발 중이다.세계 1위 향수 기업인 스위스 지보단이 주요 주주다. 전략적투자자(SI)로 바이오에프디엔씨의 지분 10%를 갖고 있다. 바이오에프디엔씨는 동백꽃에서 얻어낸 항염증·항노화 소재를 식물세포 배양 방식으로 생산해 이 회사에 납품하고 있다. 지난해 8조원대 매출을 기록한 지보단의 향수 시장 점유율은 20%에 이른다. 바이오에프디엔씨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해 지난 29일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했다. 내년 2월 상장이 목표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