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장애 재발 막자"…정부,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 발표

사진=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지난 10월 전국적인 네트워크 장애 사고가 발생한 KT 사태에 대한 후속대책으로 '네트워크 안전성 확보방안'을 29일 발표했다.

이번 네트워크 안전성 확보방안은 디지털 대전환을 뒷받침하는 안전한 네트워크 구현에 초점이 맞춰졌다. △통신재난 예방・대응 강화 △재난 발생 시 네트워크 생존성 확보 역량 강화 △재난발생 이후 네트워크장애 복원력 제고 △네트워크 안정성 제고 제도 개선 등 4대 과제로 구성됐다.과기정통부는 우선 이동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오류 예방 및 대응 체계를 강화한다. 모의시험체계를 활용한 사전검증을 코어망 전체 작업으로 확대하고, 작업관리 중앙통제를 강화한다. 통제 우회작업도 제한한다. 통신재난의 신속하고 통합적인 상황인지 및 대응을 위해 이상감지 시스템 구축도 검토한다.

AI, SDN을 활욯안 네트워크 안전관리 기술 적용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활용을 강화한다. AI 자동관제는 가입자 수가 많은 가정용 인터넷, 인터넷TV(IPTV) 등에 적용하고, SDN은 고객 개통업무 등 정형화된 업무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네트워크 안전관리를 위한 중장기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AI가 전체 네트워크에서 문제를 자동으로 예측해 관제센터에 알려주고, SW 기반 네트워크가 자동으로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한다.실제 통신망 유사한 '디지털 트윈' 개발도 추진한다. 기간통신망은 계속 운영되고 있어야 하는 만큼, 통신사와 협조해 기간통신망의 사전 시험검증이 가능한 기술이다.

이와 함께 이동통신사와 네트워크 구조를 개선,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도록 서비스가 최대한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코어망의 일부 장비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오류가 전체 장비에 확산되지 않도록 코어망 계층간 오류확산 안전장치(필터링 등)를 마련한다.

지역망에서 발생한 오류가 타지역에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가입자망의 라우팅을 독립적인 자율시스템으로 구성하거나, 자동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지 않는 정적(스태틱) 라우팅을 사용하여 지역별로 분리할 계획이다.유선망의 장애가 무선망의 장애로 이어지지 않도록 유무선 접속경로 이중화를 추진한다. 무선망에서도 자사 유선망 외 재난 시 활용 가능한 인터넷 접속경로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통신사 상호 협력체계를 통한 네트워크 장애 복원력도 강화한다.

통신사간 상호백업 체계는 필수 서비스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전국적인 유선망 장애시 무선망 이용자가 타사 유선망을 경유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것이다. 국지적 무선망 장애가 발생하며 이용자가 기존단말을 통해 타통신사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로밍 규모를 시도규모 통신 재난에 대부분 대응할 수 있도록 1.5배로(현 200만→300만) 확대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유무선 장애 시 긴급한 인터넷 사용이 가능토록 통신재난 위기경보 ‘경계’ 발령 시에 공공・상용와이파이를 개방하고,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통합 식별자(Public WiFi Emergency)를 별도 송출할 계획이다.과기정통부는 이러한 네트워크 안전성 확보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주요통신사업자, 유관기관, 전문가 등이 참여한 산학연 중심 네트워크 안정성 대책TF를 구성했다. 총 8회 회의 및 외부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거쳤다고 밝혔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