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영 "슬럼프 딛고 하반기 대반전…인내의 열매는 달콤했죠"

LPGA 3관왕 고진영 화상 기자간담회

"올해의 선수상이 가장 짜릿"
주변 도움으로 슬럼프 극복
골프, 혼자만 하는 운동 아닌
주변 잘 챙겨야 한다는 것 체득

아직도 우승컵 더 들고 싶어
대회 출전 자체가 동기부여
“시즌이 끝나면 소파에 드러누워 감자튀김을 먹으며 넷플릭스를 보겠다”던 소박한 꿈도 그에겐 쉽지 않은 일이었다. ‘골프 여제’ 고진영(사진)은 27일 “너무 바빠서 감자튀김을 먹으며 누워 있을 시간이 없었다. ‘슬기로운 의사생활2’를 끝까지 다 본 것이 유일한 소득”이라며 웃었다. 이날 기자들과 한 화상 인터뷰에서였다.

고진영은 올해 누구보다 역동적인 시간을 보냈다. 시즌 초 짧은 슬럼프를 겪었지만 하반기에 다시 기세를 올리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5승을 따냈다. 시즌 최종전 CME 챔피언십 우승으로 올해의 선수상, 상금왕까지 싹쓸이했다.그는 “‘올해의 선수상’을 받은 순간이 가장 짜릿했다”며 올 시즌의 키워드로 ‘대반전’을 꼽았다. 올 시즌 초, 고진영은 극심한 침체기를 겪었다. ‘우승을 한 번이라도 할 수 있을까’라고 스스로 생각했을 정도였다. 특히 지난 3월 할머니의 임종을 지키지 못해 깊은 슬럼프에 빠졌다. 하지만 7월 발런티어스 오브 아메리카 클래식에서 시즌 첫 승을 올리며 반전의 발판을 마련했다.

2020 도쿄올림픽에서 라이벌 넬리 코다(23·미국)에게 금메달을 내준 그는 국내에서 절치부심하며 집중적 훈련에 들어갔다. 스윙 코치와 클럽, 퍼터 등 모든 것을 바꾸고 주니어 때처럼 연습했다.

고진영은 “인내의 끝에 얻는 열매는 달콤하다는 점을 배웠다”고 말했다.“올림픽 이후 한 달간 ‘이러다 죽을 수도 있겠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연습했어요. 답답하고 골프가 싫어지고 정체성 혼란이 올 정도로 힘든 시간이 있었지만, 주변 분들의 도움으로 석 달 만에 잘 극복했죠. 골프가 혼자 하는 운동이 아니란 것, 주변을 잘 챙겨야 한다는 걸 다시 한번 배웠습니다.”

올 상반기 부진으로 오랫동안 지키고 있던 세계랭킹 1위를 코다에게 내줬다. 하반기 몰아치기로 개인상을 모두 가져왔지만 랭킹 1위는 되찾지 못한 상태다. 점수는 단 0.23포인트 차이. 시즌 최종전까지 개인상 부문을 두고 치열한 승부를 펼친 두 선수의 라이벌전은 올해 LPGA 투어가 선정한 최고의 뉴스가 됐다.

앞서 코다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고진영에 대해 “티샷부터 퍼팅까지 완벽한 플레이를 펼치는 선수”라고 평가했다. 고진영은 “제가 하고 싶은 말을 넬리가 먼저 해버렸다”며 웃었다. “넬리는 멀리, 똑바로 치고 다양한 샷을 구사하는 선수예요. 2019년부터 거의 2주에 한 번꼴로 같이 경기했는데 이야기도 많이 나누고 친분이 있어요. 매너가 좋고, 배울 점이 정말 많은 선수입니다.”올해 많은 걸 이뤘지만 그는 우승컵을 더 들어올리고 싶다고 했다. 고진영은 “대회 출전 자체가 저에게는 동기 부여가 된다”며 “한국에서 친구, 반려견, 가족과 보낼 수 있는 좋은 시간을 포기하고 미국에 가는 만큼 대회에 더 집중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LPGA 투어에서 톱랭커로 활약하고 있는 그를 롤모델로 꼽는 선수가 많다. 고진영은 “언제부터인가 제 말과 행동이 어린 선수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해 조심하게 됐다”고 털어놨다.

내년에 새롭게 미국 무대에 진출하는 후배들에게 조언해달라고 하자 “제가 그럴 입장은 아니다”며 겸손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한국에서는 일요일에 대회가 끝나면 월·화요일에 개인적인 시간을 가질 수 있지만 미국에서는 바로 다음 대회를 위해 비행기로 이동해야 한다. 골프만 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지만 동시에 개인생활을 포기하고 골프만 해야 하는 곳”이라며 정신적 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고진영은 다음달 12일 미국으로 떠나 다음 시즌을 위한 동계훈련에 돌입한다. ‘대반전’의 한 해를 보낸 그는 내년엔 ‘꾸준함’을 선보이는 게 목표라고 했다. “제가 할 수 있는 골프를 최대한 재밌게,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어요. 골퍼 고진영뿐 아니라 사람 고진영으로서도 더 나아지는 모습을 보여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