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 사상 최다 배출에도 "우물 안 개구리만 키웠다"

올해 7곳 탄생했지만…'내수중심' B2C에 편중

벤처투자 5.2조 82% 늘었지만
직방·당근마켓·마켓컬리 등
e커머스 플랫폼에 몰려
'핀테크 두각' 글로벌과 대조

세계 데카콘 45곳…韓 없어
"CVC 진출 환경 만들어야"
올해 벤처투자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사)도 가장 많은 7개사가 등장했다. 왕성하게 등장한 스타트업들에 투자도 적극 쏠리고 있다는 얘기다. 유니콘으로 ‘스케일업’된 스타트업들은 이제 산업계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는 모양새다. 다만 한국의 유니콘들이 핀테크 인공지능(AI) 등의 스타트업을 보유한 다른 국가와는 달리 대부분 e커머스(전자상거래) 같은 B2C(기업·소비자 간 거래) 분야에 몰려 있는 현상은 풀어야 할 숙제로 지적된다.

벤처투자·유니콘 모두 사상 ‘최대’

19일 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3분기까지 벤처투자 규모는 5조2593억원으로, 사상 최대였던 지난해(4조3045억원)를 이미 넘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금액(2조8925억원)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82%) 많아진 수치다. 3분기까지 신규 결성된 벤처펀드도 268개로 지난해 전체(206개) 수치를 뛰어넘었다.이런 투자는 스타트업들의 덩치도 키우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 들어 직방 두나무 컬리 당근마켓 등이 새로운 유니콘 기업에 합류했다. 이에 따라 중기부가 공식 파악한 국내 유니콘은 15개사로, 4년 전(2017년·3개)의 다섯 배로 불었다.

중기부 집계엔 반영되지 않았지만 최근 투자유치 과정에서 1조원 넘는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버킷플레이스 오아시스마켓 엔픽셀(모바일게임회사) 등까지 더하면 국내 유니콘은 올해만 7개사에 이른다. 국내 유니콘 수도 18개로 더 많아진다. 벤처캐피털(VC) 업계는 내년에 유니콘 등장이 더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전자책 플랫폼 ‘리디북스’를 운영하는 리디를 비롯해 물류 플랫폼 ‘부릉’ 운영사인 메쉬코리아, 음악 저작권 플랫폼 뮤직카우 등이 유니콘 행렬 참가에 대기 중이다. 지난 8월 말 기준으로 기업가치가 1000억원 이상 1조원 미만인 ‘예비 유니콘’ 기업은 357개에 달한다.

덩치는 커졌지만 “B2C에 올인”

유니콘과 예비 유니콘 수는 많아졌지만 사업영역이 모두 B2C에 몰려 있다는 점에 대해 우려스럽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 들어 유니콘이 된 컬리 직방 당근마켓 버킷플레이스 오아시스마켓 두나무 엔픽셀 등은 모두 직접 소비자를 상대로 매출을 일으키는 회사다.반면 전 세계 유니콘 기업들은 주로 웹서비스나 소프트웨어, AI 등의 사업부문에서 활약하고 있는 회사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유니콘 917곳 가운데 핀테크 분야 유니콘이 185개(20.2%)로 가장 많고 이어 소프트웨어(164개·17.9%), AI(72개·7.9%) 순이었다.

이 같은 ‘플랫폼 편식’은 스타트업에 주로 투자하는 VC들이 빠른 시간 안에 투자금 회수가 가능한 분야에 집중적으로 돈을 쏟아붓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 VC 출신 스타트업 최고재무책임자(CFO)는 “B2C 분야는 거래액과 매출 같은 지표가 당장 눈에 띄고 성장세도 빠르다”면서 “상장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VC들이 선호하고, 이들이 선호하니 창업도 이쪽으로 몰린다”고 말했다.

데카콘은 홍콩보다 적어

한국 유니콘은 많아지고 있지만 ‘데카콘’ 기업(기업가치 100억달러 이상 비상장사)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도 아쉬운 점이다.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세계 45개 데카콘 기업 가운데 절반 이상(24개)이 미국에 있다. 중국(9개) 영국(3개) 홍콩·인도(각각 2개) 싱가포르·브라질(1개)도 데카콘 기업이 있지만, 한국엔 1개도 없다. 최근 하이브와 주식 맞교환 과정에서 20조원대 가치를 인정받은 두나무를 반영해도 한국은 홍콩과 인도보다 데카콘 기업이 적다. 이처럼 데카콘의 실종은 내수 B2C 시장 중심의 국내 스타트업 발전의 한계를 보여준다는 지적도 있다.한 VC 대표는 “데카콘이 많아져 국내 산업을 이끌려면 될성부른 스타트업에 후기투자가 이어져야 하는데, 상장 후 엑시트하는 구조의 지금 투자 환경에선 나오기 힘들다”며 “미국의 구글벤처스나 인텔캐피털 등처럼 장기적으로 대형 투자를 이끌어갈 기업형벤처캐피털(CVC)들이 적극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공정거래법은 국내 대기업들이 금융회사인 CVC를 설립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내년엔 정부가 이를 다소 완화해 일반지주회사가 지분을 100% 보유한 완전자회사 형태로 CVC를 설립할 수 있게 했으나 차입 규모와 외부자금 펀드 출자 비중 등은 여전히 규제 대상으로 남겨놨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