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 뇌종양 치료제 뇌혈관장벽 투과 효능 입증

美자회사 오블라토 개발
미국 핵의학 분자영상학 저널 발표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는 미국 자회사 오블라토(Oblato)를 통해 개발 중인 뇌종양 치료제 ‘OKN-007’이 뇌혈관장벽(BBB)을 일시적으로 열어 다른 물질의 투과성을 높이는 약물전달 효과를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핵의학 분자영상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을 통해 발표됐다.

BBB는 강력한 생체장벽 중 하나다. 뇌의 항상성을 조절하기 위해 뇌 기능에 필수적으로 작용하는 분자들만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혈관 투과성이 매우 낮다. 이에 많은 중추신경계 약물들이 표적 세포까지 도달하지 못해, 뇌종양이나 퇴행성 뇌질환 등 치료제 개발 성공 확률과 치료 효율이 매우 낮다는 설명이다. 미국 오클라호마 의학 연구재단(OMRF)은 OKN-007의 뇌혈관 투과성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임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에서는 OKN-007과 식염수를 2개의 실험군에 각각 투여한 후, 자기공명영상(MRI) 조영제 또는 조영제에 여러 물질을 결합한 물질을 투여해 MRI를 비교했다. 그 결과 OKN-007을 투여한 실험군의 뇌 안에서 조영제의 신호 세기가 크게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이 결과는 조영제에 결합한 물질의 분자량을 다양하게 설정해도 일관되게 나타났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신경 전달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물질인 ‘Eph B2’의 항체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는 OKN-007을 이용하면 다양한 치료 물질들의 BBB 투과율을 증가시켜, 뇌종양을 포함한 각종 뇌 관련 질환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사는 이번에 발표된 논문과 별도로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OKN-007과 표준치료제인 ‘테모졸로마이드’를 병용투여 하는 방식의 임상 2상을 미국에서 진행 중이다.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 관계자는 “저산소증 유발인자인 ‘HIF-1α’를 저해해 암세포의 신생혈관 생성과 성장을 막는 OKN-007에 대해 뛰어난 약물전달 효과까지 확인했다”며 “현재 오블라토의 주도로 진행 중인 교모세포종 2상에 더욱 박차를 가해 마땅한 치료 대안이 없는 교모세포종 치료에 최적의 대안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7일 넥스트사이언스를 중심으로 한 에이치엘비 컨소시엄이 지트리비앤티의 인수를 확정하면서, 회사명이 지트리비앤티에서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로 변경됐다.

김예나 기자

핫이슈